어린이과학동아
"둘레"(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1)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이 일로 페인터는 음료수병을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는 병뚜껑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실패를 거듭하던 어느 날, 페인터는 병뚜껑 둘레를 눌러서 조이면 되지 않겠느냐는 아내의 말을 들었다. 아내의 말에서 힌트를 얻은 페인터는 병 주둥이에 홈을 파고 병뚜껑을 꽉 조여 맞물리게 만든 왕관 모양의 병뚜껑을 만들었다. 이 작은 병뚜껑은 음료수가 새거나 상 ...
- 불시착한 우주선에서 살아서 귀환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구조신호를 계속 보냈지만 시끄러운 잡음만 돌아올 뿐이었어요. 날이 저물자 기온이 영하 15℃로 뚝 떨어졌어요. 우주인들은 모닥불 둘레에 모여 앉아 초콜릿과 비스킷, 그리고 트보락(우유로 만든 러시아 전통음식)으로 허기를 채웠죠. “아, 홍차다!” 고산 씨는 비상식량 주머니에서 홍차를 찾아 냈어요. 그리고 모닥불에 물을 데워 홍차를 타 마시다 이 ...
- 질병은 근육에게 물어 봐~어린이과학동아 l20080214
- 해서 돌고 있는 작은 천체를 말해요. 지구 같은 행성보다는 작고, 유성체보다는 큰 천체죠. 혜성과 크기는 비슷하지만, 혜성은 핵 둘레에 코마가 있고 꼬리가 발달하기 때문에 소행성과는 달라요. 하지만 최근, 혜성의 물질을 분석한 결과 소행성과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결국 혜성과 소행성이 같은 천체가 아니냐는 궁금증이 커지고 있어요. 저도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GPS는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이 보내오는 정보로 위치를 알아 내는 장치야. 모두 24개의 위성이 약 2만㎞ 상공에서 하루에 두 번씩 지구 둘레를 돌고 있지. 원래 미국 국방부에서 미사일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위성항법시스템인데, 1990년대 들어 자동차 안내장치나 휴대전화의 친구찾기, 위치추적 등으로 이용되기 시작했어.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모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사람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관을 진리로 믿고 있었어. 그래서 모든 행성이 하늘(천구)에 붙어서 지구 둘레를 돈다고 생각했지. 하지만 내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움직임을 관찰해 보니 태양이나 달처럼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지만은 않더군. 뒤로 가기도 하더라 이 말이야. 거 참 이상하지 않나? 그래서 고민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폭이 좁고 직선이다. 혜성이란? 혜성은 머리 부분인 핵과 꼬리로 이루어져 있다. 핵은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양 둘레를 타원을 그리며 운동한다.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지면 핵이 가열돼 가스와 먼지가 방출되면서 ‘코마’를 만든다. [소제시작]사건 분석2. 혜성이 뭐야?[소제끝] 단순하고 아는 게 별로 없어 보이던 민엽이의 날카로운 질문 ...
- 초승달과 지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햇빛을 반사하여 빛나요. 달 표면에서 햇빛을 반사하는 곳은 언제나 달 표면의 절반이에요. 달은 지구 둘레를 약 한 달에 한 번 공전을 하지요. 이 때 태양과 달과 지구의 위치가 매일 달라지기 때문에 달의 밝은 부분의 모양이 달라져 보여요. 그래서 달의 모양이 변하는 거예요. 달의 어두운 부분은 햇빛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천문학자이자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 그가 150년 경 만든 세계 반구 지도는 거리나 표현에서 틀린 점이 많았지만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표시해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이 되었다. 이 지도는 제작된 후 1000년이 넘은 후에도 인쇄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BIMG_l10}인류 최초로 세계 일주를 한‘마젤란’ 인류가 세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어린이과학동아 l20060814
- 남태평양으로 향하는데 모모 녀석이 한말이 더 걸작이었지. “노틸러스호의 최대 지름이 2m니까 원통의 둘레는 6m가 넘지.(원의 둘레는 지름×π3.14)니까)아까 대왕오징어의 다리가 노틸러스호의 중심을 두 바퀴 반 정도 감고 있었지? 그럼 그 녀석의 다리 길이는 15m가 넘는다는 얘기잖아! 굉장해 ... ...
- 자연에서 숨은그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수학자들은 이미 벌들의 집짓기 방식이 평면에 원을 채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육각형 구조는 하나의 원 둘레에 같은 크기의 원들이 빼곡이 채워질 때 나타난다. ▶직접 관찰을 해 보자! 똑같은 크기의 동전을 바닥에 가능한한 빈틈없이 채워 보자. 단, 동전의 주위가 서로 닿아야 하고 겹쳐서는 안 된다. 하나의 동전 주위를 몇 ...
이전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