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곧바로 만들어낼 수 있는 RNA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핵까지 유전체를 침투시켜야 하는
DNA
바이러스보다 생존에 유리하다. 또 단백질을 합성한 뒤 잘라서 쓰는 시스템도 복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바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이런 전략을 쓰고 있다.복사한 유전체를 단백질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DNA
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 1978년 델브뤼크는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럴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참가해 자신의 생애를 인터뷰로 남겼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 ...
DNA
&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통과하면 백신을 바로 판매할 수 있다. 제넥신도 2020년 6월 11일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인
DNA
백신 ‘GX-19’로 국내에서는 처음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코로나19 백신 속도전에서는 핵산 백신이 가장 앞서있는 셈이다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 세계 연구진은 서둘러 백신과 더불어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뛰어들었다. 후보는
DNA
염기 유사체와 바이러스 부착 및 침투억제제다. 하지만 헤르페스바이러스와 HIV 등의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했던 연구자들에게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할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쉽지 않은 과제였다. 중증환자와 ... ...
[DJ 맹추의 수담수담] 수학을 빛낸 신스틸러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잊혀졌습니다. 하지만 매듭 이론은 발전을 거듭한 끝에 공간을 수학적으로 분류하거나
DNA
구조를 설명할 때는 물론 입자를 진동하는 끈으로 설명하는 ‘초끈이론’ 연구에도 응용됩니다. 이쯤 되면 신스틸러가 아니라 주인공이라고 해도 손색없겠죠? 에드바르 프레그먼수학 돌다리도 두드려야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영향을 미친다.차세대 시퀀싱: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 중 하나다. 수백 만 개의
DNA
염기서열 정보를 병렬적으로 처리해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필자소개 김지윤.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소화기 약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로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3차원 대칭 분석은 화학뿐만 아니라 단백질 구조 분석을 하는 생물학에서도 쓰이며,
DNA
이중나선 구조를 찾는 데에도 쓰이고 있습니다. 끝나지 않는 군의 세계이렇게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군 외에도 수학적으로 정의한 추상적인 군이 군론에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리고 지금 본 것처럼 수학 본연의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생존할 수 있었다. 우리의 선조도 바로 그런 개체였다. 그리고 우리는 그들의
DNA
를 그대로 물려 받아 살고 있다. 그런데 긴 시간이 흐르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른바 선진국으로 꼽히는 국가에 거주하는 현대인은 넘치는 식욕을 채우고도 남을 만큼 먹을 것이 풍부한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 뇌는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했고요. 그래서 이직을 강행했죠.” 예상대로 그는 다양한 분야를 경험할 수 있었다.
DNA
와 RNA 백신 개발 플랫폼, 백신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 개발 등 기초연구부터 임상까지 제약의 전 과정을 경험했다. 임상 가능한 물질을 새롭게 도입해 제품을 개발(License-in)하는 등 사업개발과 관련된 경험도 ... ...
[에디터노트]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9% 수준인데, 인간은 14~31%인 이유도 미스터리다. 이에 대해서는 인간의 지방세포
DNA
가 칼로리를 축적하는 ‘나쁜 지방(백색 지방)’을 칼로리를 태우는 ‘착한 지방(갈색 지방)’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해석이 있다. doi: 10.1093/gbe/evz134 최근에는 코로나19 감염을 일으키는 사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