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흙"(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속살을 볼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이제 2, 3차 시료 채취와 흙이 담긴 캡슐을 안전하게 지구로 귀환시키는 일이 남아 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2022년에는 파에톤을, 2024년에는 화성의 달(원래 소행성으로 알려졌다)로 밝혀진 포브스와 데이모스를 ... ...
- [GO! GO! 고고학자] 테르모필레 전투의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퇴적물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테르모필레 전투 이후 2500년이 흐르면서 엄청난 양의 흙이 쌓인 것이지요. 또한, 고고학자들은 과거의 기후를 분석하여 이 지역의 해수면이 낮아졌다는 점도 발견했어요. 그 결과 해안선이 2500년 전보다 5km나 뒤로 후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변하게 된 것이죠.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것으로 보이는 슬리퍼가 놓여있었다. 텃밭에는 물을 뿌리는 호스와 채소, 축축하게 젖은 흙과 발자국이 확인됐다. 무더위에 텃밭의 채소가 말라 죽지 않도록 물을 주면서 맨발로 더위를 식히다가 쓰러진 것처럼 보였다. 날씨와 땅의 상태, 신고자의 진술 등을 고려할 때 사건 발생 시각은 그리 오래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만들어졌습니다. 이 구덩이는 사실상 언덕의 음(陰)의 버전이고, 구덩이 안에 있던 흙들은 이제 언덕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완벽하게 균형을 이룬 것이죠. 빅뱅 때 어마어마한 양(陽)의 에너지가 만들어지면서 동시에 같은 양의 음의 에너지도 만들어진 겁니다.(※편집자주. 최근 영국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하쿠토 팀이 개발한 로버는 자동차처럼 네 바퀴로 움직인다. 달의 부드러운 흙 속에 바퀴가 파묻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에는 넓적한 톱니를 달았다. 길이 58cm인 몸집에 비해 바퀴 지름을 20cm로 크게 설계한 것도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다. 바퀴에서 지면과 닿는 부위의 폭은 7cm,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써서 말이지요. 리만의 이 도구는 가우스가 거의 발굴해 놓은 소수의 황금계단 위에 쌓인 흙먼지를 섬세하게 벗겨내는 데 안성맞춤이었습니다. 하지만 리만의 방법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리만 제타 함수라는 도구를 이용해 소수의 황금계단 위에 쌓인 먼지를 모두 벗겨내려면 함숫값이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다은 대원은 수로가 변하면 개구리 개체 수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흙 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자 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들었거든요. 유다은 대원은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를 지키기 위해 행동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어요. 이 연구는 전국 초중고생이 참여하는 ‘제6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일대에서는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늘어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제 생각엔 흙 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면서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든 것 같아요. 작년엔 전국과학전람회에 이 문제를 해결할 생태 통로를 제안해 특상을 받았답니다. Q 정말 안타까운 일이네요. 그럼 ... ...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계속 흙더미가 보이자 이상하다고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답니다. 그 결과, 마틴 연구원은 흙더미의 정체가 흰개미 언덕이라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흰개미 언덕은 흰개미가 사는 집이에요. 흰개미는 0.5cm 정도의 작은 몸으로 1m에서 최대 8m에 달하는 집을 지어 자연의 건축가라 불리지요. 이번에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밭을 갈고 씨도 뿌리고 물도 주고 수확까지 하는 로봇이에요. 밭은 작물이 자라도록 흙을 쌓은 ‘이랑’과 사람이 지나다니도록 낮게 만든 ‘고랑’이 번갈아가며 이어져 있어요. 제가 만드는 로봇은 연속된 두 고랑에 각각 발을 두고 이랑 위를 지나다닐 거예요. 로봇에 여러 기계를 바꿔 연결할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