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질무렵
성하
d라이브러리
"
한여름
"(으)로 총 22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초봄이
한여름
' '
한여름
이 가을'의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지난 4월은 월평균 기온이 기상관측 이후 가장 높은 분포를 보여 봄이 실종하고 여름이 다가온 느낌을 갖게했다. 이는 상순 중반에 고기압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북쪽으로 제트기류가 남하하지 못해 상층 한기의 유입이 적은 반면 중국 내륙지방으로부터의 난기유입에 따라 고온현상을 보인 때문이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있다. 적당한 고도로 떠오른 견우와 직녀는 백조자리의 꼬리별인 데네브와 함께
한여름
밤을 주도하지만, 아직 칠월칠석이 안돼서인지 서로 접근한 느낌은 없다. 알타이르 바로 밑에는 어둡고 작지만 귀여운 별자리가 하나 있는데 돌고래자리가 바로 그것이다. 신기한 것은 쌍안경으로 이 별자리를 ... ...
(4) 슈메이커-레비 혜성, 새 목성테 형성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방출하는 꼬리의 물질도 상당히 먼 거리에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우리는 매스컴을 통해
한여름
밤에 '별똥별 소나기'가 있을 것이라는 예보를 접하곤 한다. 이때가 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마치 불꽃놀이를 하는 것처럼 한시간에 몇천 개의 별똥별이 작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청명한 여름밤에 마당에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떼면 금방이라도 져버리려 한다. 북극성을 바라보며 그 근처에서 보게 되는 백조자리는
한여름
에 천정에서 볼 때와 달리, 이 별자리가 상당히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달 북쪽하늘에서 가장 뚜렷하게 볼 수 있는 별자리는 서쪽으로 치우친 곳의 카시오페이아와 동쪽으로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한여름
에는 자외선의 광도가 점점 세진다. 일명 화학선이라 불리는 자외선은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인간을 포함하여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태양빛에 노출되어, 그 생리대사와 병리현상이 태양빛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이미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대상을 알 필요도 없다. 까만 밤하늘에서 쌍안경 시야에 가득차는 별들의 아름다움은
한여름
의 더위를 식혀주기에 충분하다.별똥 관측, 초저녁보다는 새벽밤하늘을 가르며 떨어지는 화려한 별똥별의 모습은 정적인 우주와는 대조적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느낌과 감동을 준다.별똥이란 우주에 떠돌아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북반구 관측자들에게 결코 친숙한 별자리는 아니다. 그러나
한여름
의 아름다운 별밤에서 그것보다 더 찾아보기 쉬운 별자리도 없다. 남쪽 지평선 위로 전갈자리의 붉은 1등성 안타레스(Antares, 화성의 라이벌)가 보이고 그 동쪽으로 멀지 않은 곳에 찻주전자 모양을 한 ... ...
계절시차 적응 못해 봄되면 온몸이 나른 몸속시계가 수면을 조절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여름이 다가오면 낮시간이 차츰 길어지므로 사람들의 야간 수면수간이 짧아진다. 그래서
한여름
에는 낮잠을 자기도 하고 여름휴가를 떠나기도 하지만 봄에는 아직 몸이 이런 상태에 익숙해 있지않기 때문에 졸음이 오고 아침에 일어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각종 신경이 모이는 뇌의 시상하부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변해 있었다.모스크바 콤소몰스카야역에서 유라시아 대륙횡단열차에 몸을 실은 것은
한여름
밤 01시 15분이었다. 대륙의 서쪽에서 동쪽으로의 연속적 자연경관의 변화는 어느새 바이칼호를 경계로 크게 달라지며, 거기로부터 이틀을 더 달려 낯익은 동북아시아 자연 경관의 품으로 들어섰다. 중국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밀양 얼음골을 예로 보죠. 이곳에도 자연에어컨과 비슷한 풍혈(風穴)이 있는데요.
한여름
에도 얼음이 업니다. 그렇다고 산꼭대기에 얼음이 어느냐하면 그건 아니거든요. 단열팽창이 됐기 때문에 정상부의 온도보다 더 떨어졌다는 것 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구기덕 반대의 경우로 제련소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