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2016년부터 CMS팀 한국 대표를 맡고 있는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4개 검출기 연구팀 모두 굉장히 체계적으로 진행된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그중 CMS팀은 마치 하나의 기업과도 같다”고 말했다.CMS팀의 경우 55개국, 3000여 명의 ... ...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에 재학 중인 임수환 씨의 스케줄은 학기 중이든, 방학이든 상관없이 빡빡하다. 2017년부터 학 ... 200명 정도로 적은 만큼, 좋은 기회를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다”라며 “후배들도 학부 공부 외에 더 넓은 경험을 해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난 1월 말, 동굴 조사를 마치고 돌아오다 강원도 태백시 황지천의 ‘구문소’라는 곳에 들렀어요. 이곳에 펼쳐진 석회암 지대는 지난 30년 동안 매년 대학생 제자들과 함께 현장 조사를 하던 장소이기도 합니다. 구문소의 석회암이 특이한 이유는, 첩첩산중인 이곳에 얕고 따뜻한 바다에 살던 ... ...
- [한페이지 뉴스]고출력 레이저로 거대 우주 자기장의 씨앗을 뿌리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난류가 예상보다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뜻이다. 아치 보트 옥스퍼드대 물리학부 연구원은 “은하단의 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난류에서 자기장이 어떻게 증폭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론과 시뮬레이션은 아주 작은 규모의 난류 운동만 예측할 수 있었지만, 이번 ... ...
-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벌레 거품(worm blob)’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조지아공대 화학 및 생체분자공학부와 물리학부 연구팀이 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검은벌레가 얽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수조에 캘리포니아 검은벌레 20마리를 길게 늘어뜨려 놓고 수조 왼쪽 아래에는 난방장치를 설치해 뜨겁게, 수조 ... ...
- [특집] 막아라! 여섯 번째 대멸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Guttenberg(도쿄공업대학교 지구생명과학연구소), Elise F Zipkin(미시간주립대학교 생물학부),김산하(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현희진(이야기와 동물과 시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방법은 지난해에야 처음으로 증명됐다. 다니엘 파치오 영국 글래스고대 물리 및 천문학부 교수팀은 음파와 회전하는 흡음기를 이용해 커 블랙홀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펜로즈 과정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지난해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7-020-0944-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졸업요건은 책 100권 읽고 서평쓰기와 발명품이나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제출입니다. 학부장을 맡은 정재승 KAIST 교수는 “10년 후, 20년 후 우리 사회에 대체 불가능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시도”라며 “올해 진입한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암호학 연구’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수 있도록 대학의 문을 활짝 열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KAIST에 신설된 ‘융합인재학부’를 통해 올해부터 새로운 교육 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희망에만 머물지 않고자 도전한 새 시도를, 다시 50년 뒤 사람들은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것을 깨닫고 생각을 바로잡는 경험을 합니다. 최근 강 교수님은 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님과 함께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가짜뉴스에 대해 팩트(사실)체크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올바른 정보입니다. 강 교수님은 “신뢰도 높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