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자"(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전 세계 연구자들과 나란히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라는 꿈을 향해 뛰고 있다. ※필자소개이현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과 ITER 한국사업단 기술본부장을 맡고 있다. 고온 플라스마를 진단하는 기술 등을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ITER 등 핵융합 실험로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을 총괄하고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견된 기본 입자.표준 모형 이론에 따르면, 힉스는 모든 입자에게 질량을 부여한다. ※필자소개. 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한다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비로소 화석연료의 굴레를 끊고 지구에서 문명을 지속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남용운.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책임연구원으로 핵융합 플라스마의 상태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진단장치를 ...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55년 전 펜로즈 교수가 증명한 아름다운 정리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필자소개오성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수학과 교수(겸 고등과학원 수학부 비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 유체 역학 등 물리학에서 비롯되는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엄밀한 수학적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모를 또 다른 바이러스 유행을 대비하는 데도 해답을 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필자소개이영민.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바이러스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워싱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약 10년간 충북대에서 바이러스학 연구실을 운영했다. 현재 ...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질문하길 바란다. 질문을 풀어내는 과정에서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이호영. 서울대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천연물 합성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008~2013년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비밀스런 블랙홀의 물리현상에 대해 과학자들이 이제 막 그 실체를 보기 시작했다. ※필자소개우종학.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바라)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등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반달가슴곰, 세 마리가 동거하게 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달이는 하나의 해먹에서 같이 쉬고 잠도 자며 평화로운 합사 생활을 하게 되었다.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 추석 모듬전, 고소한 맛의 비결은?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식욕을 자극하는 고소한 향과 바삭한 식감은 공통적인 매력이다. 고분자공학을 연구한 필자가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추석 음식 이야기를 준비했다. 고소한 풍미의 비결, 마이야르 반응기름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은 튀김(Deep Frying), 부침(Pan Frying), 볶음(Stir Frying)으로 나뉜다. 튀김은 다량의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시로 보내야 해서, 전체 AI 모델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게 난제로 남아있다. 이는 필자의 최근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새로운 클라우드 보안 기술과 개념은 지금 이 순간에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다수는 학계에서만 통용된다. 클라우드는 앞으로 더 많이 쓰이고, 많은 정보를 다룰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