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길"(으)로 총 3,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3교시]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을 기다립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하철: 무사히 돌아가길 기도해 주세요12시에 점심을 먹으며 시작했던 ‘수업’은 7시에 저녁을 먹으며 끝났다. 그러나 집에 돌아갈 수 있었던 건 9시를 훌쩍 넘긴 밤이었다. 장애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통수단은 단연 장애인콜택시다. 그러나 서울시가 지난해 2월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서울시 ... ...
- [SF소설] 내 몰리나의 신경망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아침인지 밤인지 알 수 없었다. 물론 시계도 없다. 시간이 며칠이 지났는지도 알 수 없었다. 손을 뻗어 창문 하나 없는 매끄러운 벽면을 쓸어내렸다. 서늘했다. 잠깐 벽면을 만지다가 다시 천장으로 시선을 돌렸다. 5년 동안 써서 삐거덕거리던 매트리스와는 달랐다. 그러고 보니까 매트리스 새로 ... ...
- [기획] 다지류 선조는 육지를 휩쓰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다지류 다리 숫자에 입이 떡 벌어졌겠지만 놀라긴 아직 일러. 우리 선조들이 육상에 제일 먼저 진출한 동물이란 거 알아? 또 선조 중에는 지금의 인간보다 훨씬 큰 동물도 있었어. 얼마나 컸냐고? 저기 지나가는 저 자동차만큼…? 5억 4100만 년 전부터 2억 5200만 년 전까지 이어진 고생대는 다지류의 ... ...
- [매스미디어] Formula of Love : O + T = < 3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아이돌 트와이스가 2021년 11월 12일 발표한 노래 ‘SCIENTIST’는 사랑을 연구하는 과학자라는 독특한 콘셉트로 전 세계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가사에 ‘sin, cos’ 같은 수학 개념도 쓰였지요. SCIENTIST가 담긴 앨범은 트와이스의 정규 3집 ‘Formula of Love: O+T=<3’이에요. 앨범 전체에서 수학, 과학 냄새 ...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서울대 공대가 세계 톱 수준의 공대라는 사실을 국민들에게 각인시키고 싶습니다. 서울대 공대는 분명 연구와 인력 양성 측면에서 사회에 큰 공헌을 했지만 사회적 관심이 집중된 곳이라 조금만 문제가 생겨도 큰 질책을 받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거든요. 구성원이 합심해 마음을 다잡고 이를 극 ...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그동안의 우주탐사는 미국이나 러시아처럼 국가가 주도하던 ‘올드 스페이스’였지만 미래는 다릅니다. 우리와 같은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우주에 뛰어드는 ‘뉴 스페이스’가 주류가 될 것입니다.”2020년 6월, ‘서울포럼 2020’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최된 제2회 서경 우주포럼에서 미국 아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7일 안에 완성하는 건.”수호와 장만이 대화하는 동안 태양이 5도만큼 이동했기 때문에 그림자가 수호의 입-손을 가리기 시작했다. 장만은 수호의 입-손이 밝은 햇빛에 드러나도록 천막 입구를 활짝 열고 다시 물었다.“7일 안에 남은 부분을 완성할 수 없다는 뜻이야?”“그래. 불가능해.”장만은 ... ...
- 세계적인 수학자 故 김범식 교수님을 그리며…수학동아 l2022년 01호
- 2021년 12월 1일 수학계에 아주 슬픈 소식이 날아들었습니다. 고 김범식 교수님이 제자와 저녁 식사를 하던 도중 심근경색으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신 겁니다. 평소 건강하셨기에 이 소식은 수학자들에게 큰 충격이었습니다. 대학원을 함께 다닌 박형주 아주대학교 총장님은 고 김범식 교수님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역설’ 나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년 동안 역설 나라 곳곳을 둘러볼 예정인데요, 첫 시간이니 오늘은 역설의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면서 친해지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역설, 그것은 진리로 꽃피워날 씨앗이다.” - 벨기에의 생물학자 레오 에레라 역설이란 문제 없어 보이는 전제들로부터 ... ...
- [가상 인터뷰] 수학 문제의 영감은 개미에서 나온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먹이를 이고 가는 개미를 본 적 있나요?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이 모습을 보고 한 과학자가 수학 문제를 푸는 영감을 얻었다고 해요. 영감의 주인공! 개미를 인터뷰해 봤습니다. Q. 개미 씨,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빠른 길 찾기의 달인 개미입니다. 저는 저보다 25배 무거운 먹이를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