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콘텐츠"(으)로 총 5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복잡한 지형의 게임 단계를 매우 빨리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스크래치 코드로 절차적 콘텐츠 생성 방식을 적용한 2차원 게임 지형을 함께 만들어 볼까요? 먼저 게임이 실행되면 지형의 조건(변수)을 정하고, 지형을 그리기 위한 펜 툴을 초기화한 뒤 지형을 생성하는 함수를 호출합니다. 위 ... ...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말했다.최근에는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이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도 생기고 있다.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채널 운영, 수익 창출 방법 등에 대해 배울 기회다. 크리에이터 양성 과정의 강사로 활동하기도 하는 이 PD는 “다른 직업과 달리 크리에이터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현직에 있는 사람과 ... ...
- [특집] 메타버스에서 콘서트, 졸업식, 팬사인회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옷을 만들고, 어떤 친구는 영상 연출을 하고, 어떤 친구는 편집을 해서 함께 재밌는 콘텐츠를 만든 걸 봤을 때야. 온라인 협업이라니 정말 멋져! Q제페토는 사용자의 아바타를 만들어주는데, 어떻게 하는 거야? ‘컴퓨터 비전’이라는 기술로 사진에서 눈, 피부, 머리 등의 색상과 모양, 크기 정보는 ... ...
- [수학동아가 간다!] 서울 가재울중 와이즈 수학탐구반, 수학 교양서 완성기!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기사 모음 사이트인 ‘디라이브러리(dl.dongascience.com)’에 접속해 최근에 어떤 수학 콘텐츠가 다뤄졌는지 조사했다. 염 강사는 “디라이브러리는 특정 시기에 인기 있는 소재가 어떻게 다뤄졌는지를 살펴보기에 적합했다”고 말했다. 이를 지켜보던 황 교사는 학생들이 책을 만드는 만큼 실제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기본 글꼴 대신 개인이 직접 색다른 글꼴을 찾고 돈을 지불해 콘텐츠에서 소비하는 걸 보면 신기해요. 글꼴이 점점 대중화되고 영역이 넓어지는 현상은 글꼴 생태계에 분명 좋은 변화예요.” 류양희 글꼴 디자이너한글 글꼴을 만들 때엔 라틴 문자(로마자)와 숫자도 함께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22화. 수학 체험관에 진심을 담은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래서 수학을 가깝게 느끼도록 하기 위해선 학생뿐만 아니라 성인이 흥미를 느낄만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고 본 겁니다. 그 결과 수학 전시관은 ‘전쟁과 평화’, ‘돈’, ‘삶과 죽음’ 같은 우리와 조금 더 가까운 주제로 나눠 운영되고 있습니다. 최첨단 수학 전시 플랫폼 ... ...
- 기후변화 막는 작은 한 걸음, 탄소중립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참여를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기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웹툰, 애니메이션, 다큐, SNS 등 콘텐츠를 활용한 홍보 방법은 물론 지난 8월 생활 실천 안내서를 발간하고, 아래의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이처럼 전 세계에서 계속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제도들이 나오고 있지만, 무엇보다 우리가 ... ...
- [IBS×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9호
- meme)까지 사용자의 마음을 읽듯 알고리듬을 통해 데이터가 정렬돼 있어야 한다. 반복된 콘텐츠나 헤어진 연인의 소식이 잘못 뜨기라도 하면 이용자가 서비스를 떠날 수 있기에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여기 다시금 수학적 사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수십억 인구의 대화가 담긴 데이터에서 ... ...
- [게임 디자인 씽킹] 빛에 따라 달라지는 게임 배경 그래픽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태양, 바람 등 자연환경이 끊임없이 변하면서 우리를 둘러싼 모든 사물의 모습도 변신을 거듭합니다.이번 호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게임 속 배경 그래픽에 대해 알아봅니다. 여러분은 아침, 오후, 저녁, 밤처럼 시간 변화에 따라 주변의 색이 바뀌고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는 광경을 유심히 살펴 ... ...
- 앱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다! 하인슈타인 하이드리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오규환 교수,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백재순 교수, 명지전문대학교 소프트웨어콘텐츠학과 이은진 교수는 학생들과 온·오프라인을 통해 20번 정도 만나며 의견을 공유했고, 피드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갔어요. 그 결과 학교 앞 무단횡단을 방지하는 장치, 올바른 심폐소생술 방법을 알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