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진화한 결과물이자, 거대한 생태계의 일부분입니다. 알의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역할을
찾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논문에 서는 이런 여러 가설을 정리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새매에서는 맞고, 맥시칸 제이에게는 아닌 것알의 색상을 결정하는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왼쪽으로 돌려? 오른쪽으로 돌려? 데굴데굴 구슬 미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활용한 미로 미로는 복잡한 길을 따라 출구를 찾는 구조물을 말해요. 해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를 미로에 비유하기도 하죠. 이번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에서는 미로 안에 있는 쇠구슬에 손을 대지 않고 굴려서 출구로 빠져나가게 할 거예요.쇠구슬을 움직이는 힘은 바로 지구가 물체를 지구 ...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0호
+본책 38쪽과 함께 보세요! 창고에 물건이 마구잡이로 쌓여있던 바람에 다칠 뻔한 솜. 규칙을 만들어 물건을 분류하고 정리해야 부상 위험도 줄고, 물건을
찾기
도 쉽다는 걸 깨닫게 됐지요. 솜 사장과 함께 규칙을 정해 창고 정리를 시작해 볼까요? ...
[특집] SF 시나리오, 미래의 한반도는?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사정이 복잡하다. 해수면이 2022년 대비 10m나 상승하고 집중호우도 늘어 마땅한 장소를
찾기
가 쉽지 않았다. 수백 년 전부터 준비해 온 세종으로 가자는 이들도 있었고, 요즘 한창 집값이 오르고 있는 경기 북부나 강원도로 옮기자는 이들도 있었다. 대한민국의 명운이 걸렸다는 명분으로 싸우고 ... ...
바다 거북의 날갯짓이 이어지도록 "또시 옵서양”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가장 적합한 방류 시기와 장소를
찾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고 했다. 이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그간 방류한 바다거북은 상당히 잘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8월 말 방류된 바다거북은 제주에서 바다에 적응하다가 겨울이 되면 더 따뜻한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있습니다. 과학동아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5년 뒤를 이끌어갈 연구분야를
찾기
위해 네덜란드 라이덴대의 최신 데이터 세트(라이덴 클러스터)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전 세계 논문 중 최근 5년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분야를 소개합니다. 그만큼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Part1. [기획] 사라진 꿀벌의 숫자, 83억 마리Part2.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 ...
OX로 답해 봐! 숨은 정답
찾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
[퍼즐마법학교] 잘못 건드리면 큰일 나! 마법 식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스페스 선배와 학교 주위를 산책하는 중이었어. 봄이어서 그런지 여기저기에 예쁜 꽃이 피어 있었지. 꽃들 사이에 신기하게 생긴 식물이 눈에 띄었어. 선배가 줄기 부분을 살짝 건드렸나 봐.갑자기 줄기가 길어지더니 선배의 발목을 타고 올라오는 거야! 어느새 선배는 줄기에 대롱대롱 매달린 상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간 게임을 할 때 균형점을
찾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구하고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표본 크기와 정보복잡도 이론을 접목하는 등 개척하신 기술들을 여러 방면으로 활용합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할 때 어떤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기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