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쓰레기
나머지
앙금
부스러기
남은것
잔재
폐물
d라이브러리
"
찌꺼기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달아주었다. 또 겨울철이면 한강 강화도 을숙도 주남저수지 철원 등지에 옥수수 밀 생선
찌꺼기
쇠기름 등 야생조수들의 먹이를 뿌려주고 20여 차례에 걸쳐 등산로에서 '산불조심'리본을 5만장, 쓰레기수거용 비닐봉지를 10만장이나 나눠주기도 했다.밀렵꾼의 총질이나 농약중독 등으로 죽어가던 새도 ... ...
최신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분해된다. 이 플라스틱을 만드는 일에는 식품처리 산업에서 버려지는 토마토와 치즈
찌꺼기
가 사용되기 때문에 쓰레기처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알곤 연구소는 폐자동차를 잘라 고철(연간 1천만에서 1천2백만t)로 만들 때 생기는 쓰레기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연구 중이다. 고철 1t당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보조가스는 절단속도를 빠르게 해줄 뿐만 아니라 냉각재로도 작용한다. 아울러 절단부의
찌꺼기
를 제거해주는 기능도 있다.레이저 절단은 균일한 절단이 장점 레이저로 가공물을 정밀하게 절단하기 위해서는 가공하는 재료의 비등점(끓는점) 이상의 온도를 가해야 하기 때문에 ${10}^{7}$~${10}^{8}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구강내 세균들이 붙어 부패하는 과정에서 생긴 냄새가 그 원인이다. 또 음식물
찌꺼기
나 세균이 침속에 있는 칼슘성분을 흡수, 마치 돌같은 치석을 형성할 때 생긴 냄새이기 십상이다. 아울러 위장병이나 간질환 등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입냄새가 많이 나므로 입냄새가 심하면 치과의사와 ... ...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듯이 보이는 능선의 한쪽에는 바람에 의해 곤충의 시체, 작은 나뭇가지 등 여러가지
찌꺼기
가 모여 있어 먹이를 찾는 곤충과 도마뱀을 꾀고 있다.내륙 중앙부는 해발 1천5백~2천4백m 정도의 고원지대를 이루는데, 최고봉은 2천6백m인 브란트봉이다.아프리카 대륙 남서부에 위치한 나미비아는 면적이 8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스파이용 위성과 로켓이 실수로 혹은 의도적으로 우주에 쏘아 올려져 궤도중에 그 조각
찌꺼기
들을 남기고 있다.우주선이 우주의 쓰레기들과 충돌할 30분의 1이라는 확률은 의문의 여지가 없이 높아지고 있다. 존슨우주센터의 한 엔지니어는 멤도는 파편들을 쓸어없앨 수 있는 우주빗자루 같은 것의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약간의 에탄올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탄올의 방부효과를 기대함과 아울러 생약
찌꺼기
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일단 추출된 생약성분은 이어서 여과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매에 녹지않는 불순물이 걸러진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추출액을 여과해야 하는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사람의 시체도 '수장(水葬)'이라는 이름으로 바다에 버려졌다. 바다는 냄새나는 음식
찌꺼기
나 쓰레기, 기름섞인 폐수를 말없이 받아주었고, 아무리 버려도 언제나 변함없이 푸르고 아름다웠다.그러나 바다가 한없이 넓어서 인간이 버리는 오물들을 얼마든지 받아줄 수 있다는 생각은 점차 바뀌기 ... ...
테마에세이/인간과 환경⑤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 결론을 낸 과학자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은 깡통과 찢어진 구두, 음식
찌꺼기
들이 위성처럼 지구의 궤도를 돌고 있는 끔찍한 광경은 아마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초 호주국립대학의 퀸은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하나의 은하에 융합된 다른 은하의
찌꺼기
들이 거대한 껍질모양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1990년대에 들어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천문학자 바네스 헌퀴스트 시바이저 등은 그들이 만든 새로운 모델을 활용, 상호작용을 하는 두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