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짧은시간"(으)로 총 2,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1교시 개념편] 과학 개념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띵동~! 어과동 과학 교실에 온 걸 환영해요. 첫 번째 시간은 과학 개념 시간이에요. 1교시에 소개할 선생님들은 과학 개념을 만화로, 영상으로 재밌게 설명해 주신답니다. 그럼 수업 시작! 만화로 과학자의 꿈을 키워보세요!‘번개 밴드’와 승객을 태운 기차가 전깃줄을 타고 이동해요. 이 그림은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친해지는 시간이 다를 뿐 영어가 전부는 아냐~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술술읽혀요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할 때 나는 학업보다는 사회생활과 학교 적응에 걱정이 많았다. 공부는 내가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오는 것이고, 시간을 충분히 투자하면 중간은 할 수 있을 것이란 자신이 있었다. 그런데 사람들과 어울리는 건 그렇지 않다. 게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오늘날 생명과학은 DNA에서 시작해 DNA에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NA를 토대로 생명의 비밀을 밝히고 DNA를 토대로 질병의 원인을 찾는다. 하지만 인간이 인간의 DNA를 해독하기 시작한 건 불과 40년 전이고, 모든 염기서열을 읽어낸 건 20년도 채 안 된다. DNA 해독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해왔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국경 넘나드는 유럽의 인턴십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실용성을 중시하는 독일 회사는 신입직원을 뽑을 때 특히 실무능력과 경험을 중요하게 따진다. 학교 성적도 중요하지만, 막상 회사에서 주어진 일을 못 해내면 좋은 성적은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독일 대학 공대 커리큘럼에는 인턴십 프로그램이 필수로 들어 있다. 즉, 학생들은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대학은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구성원끼리 교류할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들이 졸업한 뒤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줘야 한다. 즉, 학생의 커리어 지원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캘리포니아공대는 이를 위해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해안가 언덕에는 극지연구소 연구자들이 관리하는 ‘펭귄 마을’이 있다. 펭귄 마을에는 턱끈펭귄, 젠투펭귄 등 다양한 펭귄 종이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다. 머지않아 남극장보고과학기지 근처에도 우리나라가 관리하는 두 번째 펭귄 마을이 생긴다.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안어려워요희한한 것들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한 긱블은 종종 이상한 부탁을 받습니다. ‘긱블이 만들어주겠죠’가 일종의 밈(meme·모방, 재가공 등으로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특정 콘텐츠)인 마냥 여러 유튜버의 공개 요청을 받곤 하는데요.그런 긱블이 이번엔 과학기술 지식을 소개하는 유명 유 ... ...
-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드론은 짐을 옮기거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영상을 찍는 등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장애물을 빨리 피하기는 어려워요. 드론에는 물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장애물을 파악하는 카메라가 있지만, 드론이 물체를 알아채고 반응하기까지는 일반적으로 20~40ms(밀리초)가 걸리거든요. 비 ...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옴란 샤라프는 무함마드 빈 라시드 우주센터(MBRSC) 에서 화성 궤도선 ‘아말’을 쏘아 올리는 ‘에미리트 화성 탐사(EMM)’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아말의 개발과 발사, 운용 전반을 주도하고 있다. 그는 미국 버지니아대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고, 2013년에는 KAIST에서 과학기술정책으로 석사학위를 받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할 수 없다. 다른 생명체의 세포 안으로 들어가 유전체를 복제한다. 194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바이러스의 복제 기작은 미지의 영역이었다. 막스 델브뤼크, 앨프리드 데이 허시,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가 이를 밝혀내며 바이러스 연구는 한 단계 도약했다. 세 과학자는 박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