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원격측정장비였는데, 고체만 측정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이제 에어로넷과 판도라가
짝
을 이뤄 기체와 고체 모두를 측정한다. 하늘을 날며 대기질을 관측할 수 있는 NASA의 대형항공기 DC-8 초미세먼지 중 몇%가 중국 것인가늘 어디론가 훌쩍 떠나는 사람을 보고 ‘바람 같다’고 한다. 바람은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소리 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은 3%도 안 되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는
짝
을 찾기 위해 생명을 걸고 노래해요. 개구리의 노래는 수컷이 암컷에게 바치는 ‘사랑의 세레나데’인 셈이에요.이번 여름, 개구리의 세레나데를 함께 들어 볼까요? 암컷이 놀라서 도망가지 않도록 몰래, 조용히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전체 경우의 수는 4×6=24가지다.이처럼 ‘조합’이란 여러 개 가운데서 순서에 상관없이
짝
을 지을 때 나오는 경우의 수를 말한다. 브릭으로 만든 신기한 작품!사람은 보통 작고 단순한 것보다 크고 복잡한 것에 끌린다. 브릭 12개를 조립해 만들었다고 하면 만만하게 보지만, 브릭 10만 개로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알아냈다.오늘 저녁, 무더위를 식혀 줄 매미의 세레나데를 들어 보자. 우리 집 근처에서
짝
을 애타게 찾고 있는 매미는 과연 누굴까? ※ 편집자 주_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다양한 매미 사진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선주 선생님이 운영하는 블로그(blog.naver.com/rlatjswn875)에 가 보세요. 각 매미의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실력을 뽐냈다. 네이든은 그 틈에서 기가 죽어 입을 다물고 있기 일쑤였다. 그와
짝
을 이뤄 함께 공부하고 야시장을 구경시켜 주던 중국 소녀 장메이는 네이든이 문제에 도전할 수 있게 용기를 북돋는다.알을 깨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오다“무작위로 고른 카드 20장이 뒷면이 위로 오게 한 줄로 놓여 ... ...
작은이빨톱상어는 섹스 없이 후손 낳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가운데 7마리가 1에 가까운 수치가 나왔다. 필즈 교수는 “멸종위기종인 톱상어 암컷이
짝
을 찾기 어려워지면서 단성생식을 하도록 진화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 ...
가위바위보로 진화의 비밀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상대보다 우위에 있는 전략을 써야 이길 수 있답니다. 여기서 이기는 도마뱀이
짝
짓기를 하고 자손을 낳습니다.연구팀은 만약 도마뱀이 중간에 전략을 바꿀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지 연구했습니다. 진화론에 따르면 이긴 부모는 자신과 같은 전략을 쓰는 자식을 낳고, 진 부모는 사라져야 합니다.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앞쪽에 나오면 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GACC'가 이어 나오는 것이다(DNA는 G와C, T와A가
짝
을 이뤄 결합한다). 당시에는 단순히 단백질의 서열을 알아내는 걸로도 충분했기 때문에 이 서열은 한동안 잊혀졌다.정체불명의 서열은 1990년대에 들어서 다시 한번 주목받았다. 1994년 최초의 세균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발견되고 있다. 이들의 깃털 구조는 너무 단순해서 비행에 적합한 깃털은 아니지만
짝
을 유혹하거나 무리를 구별하는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이로써 중생대는 칙칙한 단색이 아닌, 화려하고 다양한 색깔을 가진 공룡들로 가득했을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새처럼 날고 품고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등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통계기반은 A 언어로 된 문장과 B 언어로 된 문장을
짝
지은 수많은 모델 말뭉치로부터 변수를 학습해 번역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어떤 문구를 말하면 번역엔진은 기존 자료에서 비슷한 문장을 찾아내 번역문으로 제시한다. ‘눈’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고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