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합"(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성질을 밝히는 문제라면 로타 추측은 그래프뿐만 아니라 벡터 공간에 있는 유한 집합의 특성다항식까지 포함하는 일반적인 상황으로 범위를 확장한 겁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기하학적인 대상을 조합론 문제로 대응시킬 수가 없어 난항을 겪었습니다. 기하학적 대상이 있으면 따라오는 대수적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모아둔 집합으로 P, NP, NP-하드, PSPACE가 있다. NP-하드는 PSPACE 다음으로 복잡한 문제의 집합이다. 표준 배열로 가는 거리구체적인 방법을 찾을 수는 없지만, ‘맨해튼 거리’와 ‘해밍 거리’를 이용하면 타일을 최소한 몇 번 옮겨야 하는지 추측할 수 있어요. 맨해튼 거리에서 ‘거리’는 각 타일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집합으로 나눠야 할까요? 좀 더 좋은 증명을 통해 더 작은 수로 나눌 수는 없을까요? 집합이 얼마나 필요한지 참 궁금합니다. ※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고안해, 5차방정식의 해는 근의 공식으로 구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는데, 이 함수 집합이 바로 ‘대칭군’이랍니다. 5차방정식의 해를 구하려다 대칭을 수학적으로 다룬 갈루아 이론은 대수학의 핵심인 ‘군론’으로 발전했어요. 티 좀 내는 게 어때?이제 대칭에 대해 좀 알았으니 평면도형이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Q. 로봇공학자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과학지식이 모두 필요하지요. 오션원을 만들 때에도 기계공학자,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했답니다.그러니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과학적인 사고력을 길러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세포와 그 구조에 대해 알게 됐잖아요? 제가 하는 일도 비슷해요. 수학적인 대상 중에 집합에 해당하는 요소에 관한 연구를 해요. 예전에는 요소 각각이 뭔지 몰랐지만 카테고리화 이론이라는 것을 쓰면 요소를 조금 더 자세히 볼 수 있어요. 순수수학이라 설명하기가 어려워요. 직업이 수학자라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모아둔 집합으로 P, NP, NP-하드, PSPACE가 있다. NP-하드는 PSPACE 다음으로 복잡한 문제의 집합이다. 소탐대실! 작은 것에 현혹되지 마라전략을 그냥 알려주면 재미없으니, 퀴즈를 하나 낼게요. 아래 맨 왼쪽 그림은 4×4 격자에서 하는 도트 앤 박스로, 레드가 먼저 시작한 게임입니다. 완성된 상자가 한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꺾이는 각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시광선은 다양한 파장의 연속적인 집합체입니다. 가시광선 안에 모든 색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뉴턴이 프리즘을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가시광선은 프리즘에 들어올 때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하고, 다시 프리즘에서 공기로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로봇, 옷처럼 두르고 다니는 로봇이 등장할 날도 멀지 않았어요. 과학과 공학 기술의 집합체인 로봇이 바꿀 세상이 기대되지 않나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Part 2. 변신 로봇 등장?!Part 3. 넘어지면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칼 세이건은 1995년 출간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과학은 단순히 지식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생각하는 방법이다”라고 썼다. 그간 비합리적인 결정을 해오진 않았는지 점검할 수 있는 기회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