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성
정밀도
정확도
명확성
정교함
d라이브러리
"
정확성
"(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예컨대 의료 분야에서는 배양검사를 PCR기술로 바꿔가고 있다.
정확성
이 높고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폐결핵의 경우 병원균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견본을 얻는데 있어 배양검사로는 4~6주가 소요되지만 PCR로는 하루가 채 안걸린다.또한 PCR은 군사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수 있는 원리와 비슷하다.이외에도 혼돈이론을 이용한 6축로봇을 개발했으며 일기예보의
정확성
을 높이기 위해 혼돈이론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또 주가변동을 예측하는데 혼돈이론을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가전제품에는 팬히터 등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미 4개가 쓸모 없어졌다. 이 자이로스코프에 의해서 우주정거장이 오차 1㎝ 이하의
정확성
을 유지하며 궤도비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계기의 고장은 곧 우주정거장이 궤도에서 이탈하는 것을 의미 한다. 다시 말해 우주정거장이 정거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럴 경우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컴퓨터가 고장났다고 판단하는 순간 정작 컴퓨터는 아무 문제도 없을 수 있다. 물론
정확성
과 신속성, 그리고 완벽을 자랑하는 컴퓨터도 인간이 만든 것이기 때문에 문제 발생 소지는 많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대부분 컴퓨터 내부가 망가져 버리는 기계적인 고장이 아니라 사용자의 실수에 대한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있고 다룰 수 있는 증상 뿐이다. 이렇게 환자의 증상만을 가지고 진단하기 때문에 자연히
정확성
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또 진단은 확률에 기초를 둔 것이므로 어느 정도의 오차는 불가피한데 일반인들은 이 오차를 상황에 맞게 수정할 능력이 없으므로 오차를 그냥 감수할 수 밖에는 없다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태양간의 거리에 해당, 대략 1억 5천만㎞)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러한 모델이 가진
정확성
은 놀랄만한 것이다. 특히나 망원경이 발명되기 이전의 시대임을 감안한다면! 천동설의 매력가장 특이할 것은 이 모델이 수학적으로는 놀랄만큼이나 간단한 논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즉 이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정전사태를 발생시킨 지난 1989년 이후부터 과학자들은 그같은 폭풍을 예측하는데 보다
정확성
을 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현재까지 알려진바 가장 좋은 방법은 태양의 코로나를 관측해 코로나의 부분들이 공중으로 찢겨나가 태양폭풍을 거세게 만드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우리의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정보처리에 어느 정도의 발전이 있어왔는데 앞으로는 고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성과
정확성
을 높이는 문제가 남아 있다.고차원 정보란 상식이나 전문적 지식 혹은 언어적 정보, 인지모델 등을 말하는데, 아직 방법론이 정립되지 않은 데다 많은 계산을 요구하기 때문에 정보의 질을 높이는데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약 7백가지 질병을 진단해 낼 수 있는 캐두시스시스템은 때론 전문의 조차도 놀랄 정도의
정확성
으로 병을 진단해 내었다.그러나 인간의 질병은 이보다 훨씬 많아 캐두시스에 입력되지 않은 질병에 대해서는 전혀 치료를 할 수 없으므로 그다지 실용적이지는 않았다. 더구나 여러가지 병이 합병증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지는 모르지만 우리인체는 그 일에 매우 빠를 뿐더러 최소의 단서들만으로도 놀랄만한
정확성
을 발휘한다. 어떤 사람 머리의 조그마한 한부분만 보고서도 누구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 우리 인간인 것이다. 인간의 '구조적 시각력'을 평가하는 시험도 있다. 이 시험은 몇개의 조각을 맞추는 퍼즐의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