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민
이전
이사
천거
전출
식민
이식
d라이브러리
"
이주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보고 있다.언제 아시아로 들어왔는가? 그리고 언제 동북아시아, 즉 중국북부로
이주
할 수 있었는가? 아시아로 들어온 시기에 대해서 최근의 연대측정자료는 앞서 언급한 바대로 약 1백80만년 전으로 나타났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동경로의 미스터리는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왜냐하면 이동성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중의 하나인데, 시베리아 특히 바이칼지역의 추운 기후 하에서 형성된 인종중의 일부가
이주
해 남하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민족 단일계통으로 보는 것은 문제 있어그러나 민족의 형성은 일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장구한 세월동안 다양한 유전인자의 출입으로 형성되는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이아 이론이 지구환경오염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조금 독특하다. 이 이론은 인간을 가이아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끌어내렸지만, 지구 자체의 자기조절 능력 ... 생물 진화는 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난 후에는 인간들이
이주
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목이 가늘며 상체가 작은 편에 손이 큰 편으로 나타나는 것은 이들 화남형이 한반도로
이주
해 끼친 체질적 영향이 컸기 때문일 것이다. 이 형에 속하는 사람들이 얼굴그리기 과제에서는 미켈란젤로식의 (그림3)형으로 그리는 사람이 많은 것도 그럴 듯하게 생각된다.그러고 보면 한반도 내의 지역에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사실만 공통될 뿐이다.예를 들어 한국 동남부 지역에 일찍부터 살던 원주계에 북방계가
이주
해 들어와 혼혈돼 오늘의 동남부 한국인이 형성됐고, 일본열도에도 한국의 원주계와 같은 형질의 집단이 살고 있던 차에 같은 북방계형이 별도의 루트로 건너가 살게 돼(이를테면 고구려에서 직접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때문에 그 지방 사람들의 얼굴특징은 환경에의 적응과 유전자 상승작용을 감안하더라도,
이주
해온 방향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그렇다면 우리 한국인의 얼굴 특징을 이루는 유전자형은 밖에서 흘러 들어온 것일까 아니며 한국인이 한반도 안에서 변형 또는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특히 지금의 북미대륙에서는 완벽하게 소멸되어 백악기말이 되어 다시 곤드와나 쪽에서
이주
해 올때까지 장기간에 걸쳐 뇌룡의 공백시대가 계속되게 된다.여기에는 북미에서 시작된 나자식물과 새로운 피자식물과의 교대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뇌룡의 주식인 거대한 침엽수 대신 ... ...
"공룡은 지구 전역에 퍼져 살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다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백악기가 거의 끝날 무렵이었으며 그들은 아마도 남미쪽에서
이주
해 왔을 것이다.어쩌면 이들의 주장은 수많은 '공룡설'에 한가지를 덧붙이는 것에 불과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공룡에 대한 변화된 새 관점은 새로운 차원의 수많은 공룡책을 등장시킬 것이며, 결국 언젠가는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소비자와 분해자에게까지 미치게 된다.1950년대에 미국에서 구호물자와 함께 우리나라에
이주
한 개망초와 달맞이꽃이 전국적으로 길가에서 자라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1950년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진 서양 민들레는 전국 도로가에 무성히 자라서 우리나라 민들레를 도태시켜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Barisan) 주변에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리섬으로부터 이 섬으로 개척농민을
이주
시키면서 먹이감 동물이 줄어 가축을 약탈하는 사례가 많아졌다고 한다. 체형이 작고 몸에는 자바호랑이와 같이 짧은 갈기가 있다. 서식수는 6백-8백두 정도다.자바호랑이(Javan Tiger, P.t. sondaica) : 자바섬의 극히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