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입
쇄도
흐름
흡입
흘러듬
내습
d라이브러리
"
유입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00만 분의 1m) 정도로 아주 가늘어 신경망을 피할 수 있다. 신경망을 건드린다 해도 약물이
유입
되는 속도가 아주 빨라 통증을 느낄 새가 없다.“지금도 대부분의 피부과 병원에 레이저 치료기가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가 개발한 주사기를 끼우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 발라 흡수되는 약에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굴하던 중 나무 관이 충격을 받았거나, 해포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있던 미생물이
유입
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 전에는 무균상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원 한 명이 미라를 꺼낸 관 속을 면봉으로 닦아 유리병에 넣고 있다. 미라의 보관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미라나관, ... ...
통합과학-방사능, 보이지 않는 공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특정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 이 호르몬에 대해 설명하고 방사성 요오드가 체내에
유입
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시오. 2) [난이도 중] 만약 어떤 사람이 2012년에 다운증후군인 아들을 출산한 후 그 원인이 일본에서 발생한 원전사고 때문이라고 주장한다면 이 주장이 타당한지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난 4월 1일 우리 정부는 독도에 무인 환경방사능 감지기를 설치했다. 우리나라로
유입
되는 방사능 물질을 가장 먼저 탐지하기 위해서다. 독도 과학기지는 우리가 독도를 지키기 위한 목적이 크다. 하지만 정작 방사능과 지진해일, 지진 같은 재해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것은 독도다. 이는 독도와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들어왔다가 빠져나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지진해일파는 육지로
유입
하는 힘뿐 아니라 다시 바다로 되돌아가는 복원력 또한 무척 크다. 이 수석연구원은 “바닷물이 육지로 올라오는 것도 한 순간이지만 빠져나가는 것도 순식간”이라며 “바닷물이 육지에 머무른 것처럼 ... ...
구제역 “베트남에서 온 것 아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축산농가를 공포에 떨게 한 이번 구제역이 정부의 주장과 달리 베트남에서
유입
되지 않았고,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생한 것도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장 연구팀은 김선경 보건대 연구원과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이번 구제역 바이러스는 2010년 1월 우리나라 인천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행동하면 관리자에게 경고한다. 하천이나 상수원 입구에 설치해 두면 독성물질이 갑자기
유입
됐을 때 즉시 알아채고 추가 오염을 막을 수 있다. 김 교수는 “기존 장비는 물속에 들어 있는 부유물 때문에 물벼룩의 움직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며 “새로 개발한 장비는 물벼룩의 크기를 미리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기 위해 공기나 물의 끊임없는 흐름을 만들 필요가 있다. 제시문 (나)에 언급된 공기의
유입
량 Q를 증가시키거나, 공기 흐름의 저항 R을 작게 하기 위해선 공통적으로 ΔV를 크게 할수록 유리하다(Q=ΔVΔt, R=ΔPQ=ΔP·ΔtΔV). 물 또한 기체와 같은 유체이므로 이러한 식이 적용된다고 가정했을 때,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해구로 연결되는 대륙 사면은 메탄의 구성 물질인 생물체의 유해 등 퇴적 물질의
유입
이 가장 활발한 지형이다. 한편 생성 환경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다. 대륙판과 해양판의 수렴 경계인 해구의 대륙판 쪽은 화산 활동과 판의 충돌로 인해 메탄 생성에 유리한 고온 고압의 환경을 제공한다. 이렇게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새로운 종을 도입하는 경우도 외래종을
유입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종이
유입
될 때는 그 종과 공생관계에 있는 종들도 딸려 온다. 국내 외래종 조사는 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 박사는 “현재까지 약 18종의 외래종이 들어온 것으로 파악했으며 점차 늘어나고 있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