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d라이브러리
"
용암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세계를 너무나 잘 설명했다. 그러나 양자론에 따르면 미시 세계 즉 원자나 전자의 세계는
용암
이 부글부글 끓듯 급격하게 요동치는 거친 공간이다. 상대성이론은 이러한 미시 세계와 잘 맞지 않았다.아인슈타인은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양자역학의 세계를 상대성이론의 틀로 설명하는 통일장 ... ...
외계인 스콜피오스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밝히지 말라!12. 으~. 양말에 ○○났네.14. 모기와 함께 해충의 대명사.15. 마그마에 의해
용암
등과 같은 물질이 만들어 놓은 산16. 고정시킨 한 축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물체18. 지각을 구성하는 물질로, 대부분이 광물의 집합체이다.20. 하늘과 바다가 맞닿아 보이는 선.22. “○○은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위치한 지질학적 특성이 어떻게 막대한 양의 마그마를 만들어내게 하는지 그리고 최근
용암
이 어떻게 분출했는지 자세히 묘사했다.사진부문 1등 얼어버린 나이테디 브레거, 컬럼비아대라몬트-도허티 지구관측소 몽고지역의 오래된 시베리아 소나무의 작은 조각에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포착한 ... ...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다. 이에 대항해 난쟁이 프로도 일행은 절대반지를 없애려고 반지가 만들어졌던
용암
에 던진다. 결국 사우론은 부활하지 못한채 죽게 된다.고양이 눈 성운도 사우론의 눈처럼 죽음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태양 같은 별들이 최후 단계에서 바깥쪽의 가스층을 방출할 때 형성되기 때문이다. 중심에는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⑧ 달의 마그마 대양은 거대한 소행성들이 연속적으로 충돌한 후 나타났으며 나중에
용암
으로 채워진 분지를 형성했다.⑨ 지구의 중력으로 지구와 먼 쪽의 지각이 더 두꺼워 달은 약간 비대칭이다.⑩ 달 표면은 암석과 먼지로 덮여있다.“ 달은 생명의 기원” 영국 과학자 주장강한 조석력이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분출되어 이루어졌다현재는 그 절반에 해당하는 서쪽 지역이 없어지고 수많은 평탄한
용암
류 층의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1817~1897 프랑스의 광물학자 파리대학 교수를 지냈다광물학계 초기의 대가로서, 광물의 광학적 성질, 결정 측정 등은 그에게 힘입은 바 크고 구면투영법은 그에 의해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가서 달라붙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아페투스의 내부에서 탄소와 비슷한 검은
용암
이 흘러나왔다는 것이다. 이번에 아이아페투스의 어두운 면의 기원에 대한 미스터리도 풀릴지 모른다.왜 카시니와 호이겐스일까?토성의 우주탐사선과 타이탄의 착륙선을 각각 카시니와 호이겐스라고 이름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유리한 조건이다. 이키해협 주변 역시 지표부의 약 90%가 화산이 폭발해 생성된 현무암과
용암
으로 덮여있어 지반이 비교적 단단한 편이다.문제는 대한해협이다. 대한해협의 경우 40km 가량의 구간에서 두께 4백m 정도의 지층이 아직 암석화가 되지 않아 이키해협과 쓰시마해협의 지질에 비해 강도가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미확인의 변수값을 추정하는 방법물속에서 분출해 베개모양의 구조를 가진
용암용암
이 물과 만나 급격히 식으며 깨진 부스러기로 이뤄진 암석화산재와 각진 암편, 즉 돌부스러기로 이뤄진 암석모래입자 크기의 화산재가 쌓여 만들어진 암석해조류는 육상식물처럼 줄기, 잎, 뿌리 기관이 뚜렷하게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빙하기와 간빙기에 따라 해수면이 오르락내리락 했다. 해수면이 높아진 시기에 분출한
용암
은 물속으로 흘러 들어가 베개 모양의 암석을 만들었는데, 여러 차례에 걸쳐 물 속으로 흘러 들어간 흔적을 시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해수면 상승 하강의 흔적을 제주도는 고이 간직하고 있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