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씨"(으)로 총 1,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똑같습니다. 하지만 둘의 물성은 다르고, 그 물성은 합금이 돼도 남아 있습니다. 류 씨가 말한 약품의 정체는 강한 산성 액체입니다. 고탄소강과 일반강은 산에 의해 부식되는 속도가 다릅니다. 탄소가 적은 일반강이 더 쉽게 부식되죠.그래서 호미를 산성 액체에 담갔다가 빼면 일반강만 더 검게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다리 근육이 붓고 통증이 심해진다. 10대 시절 ‘국민여동생’으로 불린 배우 문근영 씨가 이 질환을 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수술을 결정하고, 수술 전 혈관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피를 뽑았다. 그 순간 환자 몸에서는 짙은 녹색 피가 나왔다. 황(S)이 헤모글로빈에 결합한 설프헤모글로빈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환각 상태에 빠져 옷을 벗었고, 여기에 술기운이 더해져 체온이 급속도로 낮아지면서 A 씨는 결국 사망했을 것이다. 수사팀은 최종적으로 저체온증에 의한 사망으로 사건을 종결했다. 정인남. 충남대 과학수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북지방경찰청 검시조사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승으로 이끈 인물은 KAIST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석사과정 연구원인 최규진, 김태영 씨다. 최 연구원은 “예선전에서 근소한 득점차여도 모든 팀을 이겼다”면서 “우승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AI 월드컵 우승 비결로 강화학습을 꼽았다. 그는 “현재 대학원에서 ... ...
- 아프리카돼지열병 퇴치 작전, 수학으로 돼지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치사율 100%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한반도를 덮쳤다고 합니다. 잘못하면 돼지의 씨가 마를 수도 있는 위기 상황! 우리는 수학에 희망을 걸어 보기로 했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아프리카돼지열병 퇴치 작전, 수학으로 돼지를 구하라!Part1. 인포그래픽. 비상! ...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채 쓰러져 죽어 있는 A 씨였다. A 씨의 사망을 확인한 B 씨는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A 씨를 집 뒤편에 묻어두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집을 떠나 병원에 입원했다. 안타깝게 생을 마감한 피해자 A 씨, 아니 피해자들의 한은 뼈가 발견되면서 5년 만에 풀린 것이다. 미제사건 안 만들려면 사소한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맛을 더 풍부하게 해 주세요.싹이 돋은 씨앗을 주는 것도 한 방법이에요. 싹이 돋은 씨앗은 지방 함유량이 낮고, 야채나 과일의 맛이 은근히 나서 자연스레 야채나 과일에 관심을 가질 수 있지요. 물 대신 과일 주스로 영양분을 챙겨 주는 것도 좋은데, 사과 주스가 가장 무난하답니다. 이때 물로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공소시효를 겨우 2년 앞둔 아슬아슬한 상황이었다. 이 DNA의 주인이자 사건의 진범인 B 씨는 2005년 특수강간 2건을 저지르고 체포돼 13년 6개월의 중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었다. 출소까지는 겨우 2년 남짓 남아있던 상황이었다. 만약 출소했더라면 또 다른 피해자를 만들 수도 있는 상습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어려운 것 같고, 다만 학교 공부를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긴 했다”고 말했다. 문 씨 역시 “스스로 머리가 좋다고 느낀 적은 없었다”며 “국어와 영어가 수학이나 과학보다 적성에 더 잘 맞아 문과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똑똑함의 기준, 메타인지실제로 최근 인지과학계에서는 지능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미지근한 물에 면이 설익어 맛이 없답니다. 그런데 2008년, 우리나라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는 산보다 높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라면을 먹었어요. 비결이 뭘까요? 사실 ISS에서는 물을 끓일 수 없어요.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아무리 끓여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과열’ 현상이 일어나기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