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폐물
오물
잡동사니
찌꺼기
먼지
폐품
쓰래기
d라이브러리
"
쓰레기
"(으)로 총 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위기의 해양동물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있는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얇고 길쭉한 나뭇가지를 수없이 많이 물어와 엮어 만든다.
쓰레기
로 오염된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닷새는 집을 지을 재료로 바다 위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끈을 물어온다. 그렇게 비극이 시작된다. 나뭇가지인 줄 알았던 플라스틱 끈이 쌓일수록 서로 얽힌다. 어미새는 ... ...
[4컷 만화] 플라스틱 먹은 낙타가 굶고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플라스틱 덩어리가 발견됐어요. 이는 낙타가 기름기나 소금기가 남아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를 먹이라고 착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돼요. 이후 플라스틱이 소화되지 않고 낙타의 뱃속에 단단히 뭉친 상태로 남은 거죠.연구팀은 뱃속에 남아있는 플라스틱 덩어리를 ‘합성 위석(polybezoar)’이라고 ... ...
지구사랑탐사대·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영웅들이 많아요. 이 작은 영웅들은 플라스틱 줄이기에 동참하는 ‘플라스틱 일기’,
쓰레기
를 줍는 ‘줍깅’, 플라스틱 분리배출 인증하는 ‘따·분·행! 캠페인’을 행동으로 옮기고 있죠. 여러분들도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에 참여해 지구를 구하는 영웅이 되어주세요~ ... ...
[4컷 만화] 헥헥, 무거워! 지구에게 너무 무거운 인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제외한 결과예요. 론 밀로 박사는 “소각이나 재활용되지 않고 지구에 남아있는
쓰레기
까지 포함하면 인공물의 총질량이 2013년에 이미 전 세계 생물량을 뛰어넘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나만의 기네스북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본책34쪽과 함께 보세요! 여러분이 잘하는 건 뭔가요? 줄넘기 오래 하기? 학교 가방 빨리 챙기기? 누구에게나 잘하는 게 있죠. 뭐든지 좋아요. 나만의 기록을 만들고, 꾸준히 연습해서 더 좋은 기록을 만들어봐요.내가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일 도전해보는 것도 좋겠죠. 젠가 블록 1개 위 ... ...
[과학뉴스] 플라스틱
쓰레기
에 고통받는 해양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이끄는 크리스티 레비트 디렉터는 “1분마다 트럭 두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
가 바다로 유입된다”며 “2040년에는 3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어요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담은 거예요. 이를 ‘초전도에너지저장장치(SMES)’라고 부른답니다. 배터리와는 달리
쓰레기
가 나오지 않는 전기 에너지 저장 방법이죠. Q 초전도체 연구가 계속 발전하면 어떤 미래가 될까요?더 작고 강력하고 저렴한 초전도 코일을 만들 수 있어요. 그러면 MRI 장비의 크기는 줄고 촬영 비용은 ... ...
[출동!기자단] 지니와 함께 KT AI 코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쉽게 설명해 주셨어요. “로봇청소기가 물건을 발견했을 때 자기 앞에 놓인 물건이
쓰레기
인지, 아니면 그냥 바닥에 떨어진 물건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요? 그러기 쉽지 않아요. 로봇청소기는 ‘물건을 발견하면 빨아들여!’라는 명령으로 만들어진 로봇이기 때문이죠.”그런데 로봇에 AI 기능을 ...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신호와 위성 신호가 섞이면 관측이 힘들어진다는 거죠. 이어 군집 위성끼리 충돌해 우주
쓰레기
가 대량으로 발생할 가능성과 밤하늘을 이용해 길을 찾는 쇠똥구리 같은 동물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제기됐어요.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레멘츠 교수와 주요 우주기업은 군집 위성의 부작용을 ... ...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따·분·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혼합되어 있는 플라스틱은 직접 분류하기 어려워 종량제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며, “
쓰레기
분리배출 기준과 방법은 지역별로 다른 경우가 많으니 사는 동네의 주민센터나 홈페이지를 확인해서 분리배출 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어요.그러자 표혜성 기자가 댓글을 통해 ‘플라스틱 병을 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