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행
이행
실천
실현
단행
실시
수행원
d라이브러리
"
수행
"(으)로 총 3,23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지구 중력의 4배까지는 사람이살 수 있습니다. 이보다 높은 중력에서는 심장이 제 기능을
수행
할 수 없습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지구 중력의 3.5배까 지가 현실적인 조건입니다. doi: 10.1119/1.5124276 물론 쾌적한 생활을 위해서는 지구 수준의 중력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력을 줄이는 것은 만드는 ... ...
과학자들의 메타버스가 열린다, 비대면 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여러 환경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시뮬레이션해야 한다. 이 과정을 제대로
수행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모델링이 필요하다.장 선임연구원은 “기존 게임이나 메타버스 플랫폼 등에서는 공간을 정확하게 구현할 필요가 없다”며 “반면 OXR 플랫폼을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 ...
바다 거북의 날갯짓이 이어지도록 "또시 옵서양”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개체 수 회복을 위한 인공 번식 연구와 해양플라스틱 섭식 연구 등 다양한 국가 연구를
수행
하고 있습니다.”아쿠아플라넷 여수의 아쿠아리스트, 조은빛 주임의 안내를 받아 바다거북 사육시설을 한 바퀴 돌았다. 아쿠아플라넷 여수는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기관이다. 서식지외보전기관은 한국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서울시는 ‘모기 예보제’를 국내 최초로 시행했어요. 서울시와 협력해 모기 예보제를
수행
하는 연구팀에서 5~10월 사이의 모기 발생 가능성을 수치화해 모기 발생 단계를 예보하고 시민들에게 행동요령을 알려주지요. 연구팀은 모기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모기 개체 수 예측 계산식을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여러 문제로 쪼갠 다음 각각의 작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고안해 내 AI가 솔루션을
수행
할 수 있게 지정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즉 그 어떤 시기보다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이 강조될 거예요. 그러니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은 큰 그림을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겠지요.외게 드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앞으로 임무를 얼마나 더 이어갈 수 있는지도 소개됐다. 애초 약 10년 동안 임무를
수행
할 것으로 계획됐지만, 현재는 약 20년 동안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손 수석연구원은 “우주망원경을 발사할 때는 정확한 위치에서 발사체와 망원경을 분리해야 한다”며 “제임스웹은 이 과정이 너무 ... ...
[특집] 모기 트랩을 설치하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해요. 수학 모형을 구축하고 나면 실제 실험을
수행
하지 않아도 모기 트랩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기존에 관측하지 않았던 영역의 에너지를 측정한다. 다누리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
하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누리의 현재 위치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109쪽 QR코드).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교내 대회와
수행
평가 및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기초 학업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이었던 셈입니다. 세부능력및특기사항 지구과학II : 과학 기술의 발전과 기술이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상상해보고 ...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태양 탐사선 파커(Parker)입니다. 태양 근처를 돌며 태양 대기의 비밀을 밝히는 임무를
수행
하고 있죠. 금성의 중력을 이용해 가속해 시속 70만 km의 최대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순간이동이라고 하긴 부족하네요.진공 상태에서 초속 약 29만 9792km. 빛의 속도(광속)입니다. 알베르트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