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자기방어에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박진영 서울대 고
생물학
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살면서 몸이 작아지는 현상인 섬 왜소증(island dwarfism)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생물학
적인 배경이 어떻든 고인류학의 관점에서 이들이 작은 머리로 석기를 만들어 사용했다는 점은 충분히 충격적이다. 호모 사피엔스의 매장문화, 작은 두뇌로 가능?또 다른 작은 인류는 2013년 남아프리카의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과거의 순간 ② 9900만 년 전 개미의 식사 시간! 미국 뉴저지공과대학교의 진화
생물학
자 필립 바딘 교수팀은 태국 미얀마에서 9900만 년 전 살던 지옥개미가 바퀴벌레를 문 순간이 저장된 호박을 발견했어요. 지옥개미가 커다란 낫과 같은 턱으로 바퀴벌레를 무는 순간, 소나무에서 나온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자기방어에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박진영 서울대 고
생물학
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울음소리와는 차원이 다른, 진짜 음악이라고 할 만한 소리였다. 이 행성을 최초로 탐사한
생물학
자 집단이 보고한 뒤로 몇몇 사람이 그 소리를 녹음하는 데 성공했다. 그 소리는 지구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단순히 듣기 좋은 수준을 넘어 정신적인 고양감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아름다운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지역에 따라 조금씩 형질의 차이를 보인다. 이를 계군(stock)이라고 한다. 독일의
생물학
자 프리드리히 하인케는 물고기가 가지고 있는 여러 형질 중에서 척추뼈의 수로 계군을 나누는 방법을 처음 시도한 사람이다. 그는 1875~1892년에 잡힌 청어의 척추뼈 수가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 ...
[기획] 언니 개미는 동생들밖에 몰라~!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늙은 개미가 어린 일개미를 배려하는 이타적 행동의 이유를 설명해볼 수 있죠. 진화
생물학
에서는 개미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도 포괄적합도 이론과 해밀턴 규칙에 따라 이타적 행동을 한다고 설명합니다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교수가 이끄는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 연구소팀은 국제학술지 ‘천체
생물학
’에 생명체가 번성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최대한 번성하려면 현재 지구 평균보다 5℃가량 높아야 합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약 14℃이므로 20℃ 정도의 행성이 좋은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위원회는 3차전에서는 우리우리스 종족 중 최고로 유능한 전사가 직접 자신의 몸을
생물학
적으로 개조해서 출전하도록 준비했다. 우리우리스 종족의 대표 선수인 결투 최적화형 개조 장사가 1 대 1로 고양이와 그대로 맞붙어서 고양이를 우주의 먼지가 되도록 완전히 산산히 분해해 버리는 모습을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밝히면 여러
생물학
적 특성이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의학적,
생물학
적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길잡이라는 뜻에서 유전체 정보를 종종 ‘유전체 지도(genome map)’라고도 부른다.하지만 유전체 지도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도 여전히 많다. 많은 질병은 단백질의 종류와 양의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