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벼"(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30% 다수확성이고 병에 대한 내구성이 훨씬 강한 신품종 '방사콩'을 개발했다. 이 외에 벼 보리 깨 배추 등에서도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를 일으켜 빨리 자라며 수확량이 많고 병에 잘 견디는 품종으로 개량해 보급하기도 했다.외국에서는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범국가적인 지원에 의해 방사선 ... ...
- 쌀, 아미로스 성분 적을수록 찰기 많다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마침내 쌀시장이 개방됐다. 이로 인해 '쌀비상'이 걸린 가운데 농민은 물론 온 국민들에게 세계에는 어떤 쌀들이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현재 세계적으로 ... 뿐 아니라 오리의 흙탕질과 배설물 등으로 질소와 영양공급이 원활해져 비료없이도 벼의 성장이 촉진된다는 것이다 ... ...
- 다테야마 立山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대부분은 아직도 논이어서 논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 따라서 농업의 주종은 벼농사인데, 도나미시(市)와 쇼게(圧下)지구와 구로베강 선상지의 뉴젠쵸(入善町)에서는 논의 그루갈이로 튤립을 재배해 그 구근(球根)을 수출하고 있다.수력자원이 풍부해 구로베강 수계의 구로베댐, 쇼간지강 ... ...
- 개항 한세기─시대별로 본 한반도의 대표적 귀화식물들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농약을 쓰지 않으며, 제초도 하지 않는 자연농법을 실천하는 일본인 후쿠오카씨는 이를 벼논에 파종한 다음, 너무 무성하면 물을 대어 조절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잔디를 가꿀 때는 매우 골치 아픈 해초가 된다. 왜냐하면 잔디는 햇빛을 잘 받아야 자라는 ...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과학동아 l1993년 04호
- 자연 상관(相關, physiognomy)으로부터 크게 변화하기 시작한 것은 아마도 우리나라에 벼농사가 시작된(B.C. 7세기 이전)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이다. 정착 농경이 발달함으로써 부락이 형성되고, 부락 근처의 삼림은 본격적으로 오늘날의 숲정이 형태로 변화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일방적 ... ...
- 벼의 기원은 양자강 유역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증명은 되지 않는다. 아직까지 우리가 유적을 발견하지 못했을는지도 모른다. 일본형벼의 기원은 양자강 중하역 뿐만 아니라 상류까지 포함하여 넓은 지역을 생각해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라고 제안했다 ...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과학동아 l1992년 12호
- 비롯해 각 농과대학 유전공학 연구실에서 유전자전환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미 벼 감자 토마토 딸기 유채 등에서 유전자 전환식물체를 얻었으나 아직 실용성이 있는 품종은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전자 전환기술의 효과는 초기단계에서는 기존의 품종개량과 ...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과학동아 l1992년 12호
- 2종류가 있다. 줄점팔랑나비와 배추흰나비의 유충인 배추애벌레가 그것. 전자는 유충이 벼 잎을, 후자는 배추잎을 갉아먹어 농민들에게 해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살충제 살포로 인해 이제 이러한 나비들은 보기조차 힘들게 됐다. 오히려 살충제 과다 사용이 사회문제화되면서 '배추벌레도 안먹는 ...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과학동아 l1992년 12호
- 반수체(半數體, n)식물을 많이 만든 후 배수체(倍數體, 2n)로 유도하는 방법도 벼 등 주요작물의 육종개량에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식물색소 알칼로이드 등 약용물질, 여러가지 2차대사산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식물세포 배양기술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동물세포배양의 경우에도 ... ...
- 곤충들의 집짓기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애벌레는 먹이가 되는 식물의 잎을 적당히 이어 집을 만들고 그속에 사는 습성이 있다.벼과식물을 이용하는 애벌레들은 가늘고 긴 잎을 둥글게 말아서 집을 만든다. 둥근 마과 식물의 잎사귀를 먹고사는 왕자팔랑나비의 애벌레는 알에서 부화되자마자 잎사귀를 부채꼴로 오려내기 시작한다. 이때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