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도"(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일 때에 해당됩니다. 다행히 올해 일본뇌염 환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8월 17일 기준). 다음으로 위험한 종은 말라리아를 옮기는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입니다. 말라리아 ... ...
-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마실 물도 없고, 대기는 이산화탄소로 이뤄진 화성은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이다. 대기 밀도가 낮고 자체 자기장이 없어 우주 방사선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 영화 ‘마션’처럼 인간이 화성에서 오랜 시간 살거나 정착하려면 당연히 물과 공기 등 갖춰야 할 조건이 많다 ...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구의 3분의 1 정도이고, 햇빛의 양도 지구의 절반밖에 안 됩니다. 대기권의 두께나 밀도도 낮아 자외선의 양은 훨씬 많고, 자체 자기장도 없어서 방사선의 세기도 훨씬 큽니다. 일 평균기온은 영하 60도 정도로 대기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로 이뤄져 있습니다. 화성의 토양에는 사람이나 미생물에 안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저렴하고, 레이저 절단기로 쉽게 자를 수 있으며, 가볍기까지 한, 메이커의 필수 도구, 중밀도 섬유판(MDF)을 이용할 겁니다.단, 이번엔 특별한 구조로 만들 건데요. 작품의 전체 규모가 크기 때문에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하면서도 기계가 움직이는 모습을 잘 들여다볼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를 ...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커질 수밖에 없어요. 그 결과 만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답니다.반면 성층권은 공기의 밀도가 작고(지상의 5%), 중력이 약해서 로켓이 우주로 나아갈 때 큰 힘이 필요하지 않아요. 연료를 덜 쓸 수 있어 로켓을 작게 만들어도 되지요. 레오 에어로스페이스는 로켓의 크기를 기존보다 50% 정도 줄일 수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여름에 비행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이지요. 반면 20km보다 더 높은 곳은 공기 밀도가 더 낮아지고, 바람이 세져서 드론이 머무르는데 에너지가 많이 들어 비효율적이랍니다. Q EAV-3는 어떻게 제트기류를 통과하나요?여름에 비행하더라도, 태양광 드론은 힘이 약해서 제트기류를 통과하는 게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0cm인 작은 공간에 약 300마리가 모여 잠을 잔다. 숙주가 엄청난 밀도로 모여 사는 셈이다. 이는 바이러스에게는 한 번에 많은 숙주를 공략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환경이다. 게다가 박쥐는 다른 동물들에게는 치명적인 병원성을 띠는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독특한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지방 합성이 일어나고 이는 다량의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분비로 이어진다. 초저밀도 지단백질은 백색 지방과 근육 조직 주변의 혈관 내벽에 있는 지질분해효소(lipase)에 의해서 유리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돼 지방세포와 근육세포 내로 흡수된다. 흡수된 다량의 유리 지방산은 앞서 설명한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말 철도연 하이퍼튜브 연구팀은 하이퍼튜브 내부의 기압과 속도 등을 시뮬레이션해 공기 밀도가 1000분의 1기압 정도로 매우 낮은 상태에서는 소닉붐이 열차나 진공튜브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하이퍼튜브에 적용할 수 있다면 최고속도를 시속 1200km 이상으로 높일 수도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박사는 “인공 눈에 부착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실제 사람의 광수용체 밀도의 10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며 “인간의 눈보다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눈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20-2285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