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고유번호를 알기 어려워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3인이 연합하는 전략을 써요. 2명이 만나 모든 카드를 썼을 때, 고유번호 2개는 알아낼 수 있지만, 누가 어떤 고유번호를 가졌는지 알 수 없어요. 1명을 더 섭외하면 그 사람과 2명 중 1명이 컨택트룸에 들어가 정보를 더 알아낼 수 있어요. 그런데 이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용해 항암 치료할 때 약물 투여량을 계산하는 연구를 했어요. 또 국어, 영어를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탐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행평가가 있어요. 이때 관심 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융합해서 보고서를 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생명과학 수행평가여도 생물의 증식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수학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 5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아문센해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환남극 심층수의 흐름이 강해지며 아문센해의 수온을 높이고 빙붕이 녹는 현상이 촉진됐다고 밝혔다. 서남극 지역의 빙붕이 모두 녹으면 전체 해수면은 5.3m가량 상승한다. 노턴 연구원은 자신의 X ... ...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충은 뭐 먹고 살았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저희 삼엽충은 고생대 약 2억 7000만 년 동안 모든 고대의 바다에 퍼져 살았던 동물이에요. 몸이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뚜렷하게 구분돼 있어서 삼염충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2만 종이 넘어요. 그중에서도 저는 보헤몰리카스 인콜라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예로 2020년 5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지구 궤도를 도는 모든 인공위성에 ‘궤도 사용료’를 부과하자는 내용이 발표됐다. 지구 궤도가 혼잡해지며 충돌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 비용을 궤도를 사용하고 있는 인공위성 사업자들에게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운전할 때 서로 접촉 내지 충돌하는 경우는 의외로 드뭅니다. 이때 걸어다니고 운전하는 모든 행위는 중앙의 지시를 받지 않습니다. 우리 각자가 판단, 결정하죠. 즉 보행과 주행 모두 이미 분산형 시스템의 일종입니다. 우리는 분산적으로 판단, 행동하며 전체적 관점에서도 꽤 효율적인 사회적 선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됐다. 여기에 더해서 그의 육체와 생물학적인 정보를 이용해서 앞으로 개발하게 될 모든 신약에 대해서도 회사가 영구적, 독점적으로 소유하게 됐다. 그 대신 태호는 현금 100억 원을 일시불로 받았다.그의 뇌와 척수를 적출하는 고난이도의 수술비는 당연히 회사에서 부담했다. 뇌와 척수를 보관할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수학자가 아무리 똑똑해도 지금까지 증명돼 온 모든 방식과 내용을 다 알 수 없어요. 인공지능이 지금까지 벌어진 일을 큰 그림에서 살펴보고, a와 b의 방법론을 엮어서 c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만들 수 있지요. 그렇게 된다면 수학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을 ... ...
- [과학뉴스] 관측 사상 가장 큰 화성 지진, 그 원인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미국은 물론, 유럽,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인도 등 화성 궤도 탐사선을 운용하는 모든 국가가 참가했다. 각 그룹은 화성을 촬영한 위성 이미지를 분석해 새로운 분화구나 먼지 구름 등의 증거를 찾았다. 그러나 수 개월 동안 이어진 탐색에도 소행성 충돌의 증거는 나오지 않았다. 화진의 원인이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부담할 의료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치료에서 예방 의학으로 가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HGP가 열어젖힌 문이다. 한 명의 유전체로는 부족하다. 많은 유전체 자료가 모일수록 유전체 의학의 힘은 강해진다. 아직은 모아야 할 자료가 많다. “지금까지 약 1만 개의 희귀 질환이 발견됐고, 그 중 80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