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확"(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원소를, 붉은색과 노란색은 동위원소를 2개 이상 보유한 원소를, 흰색은 동위원소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원소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대한화학회가 원소 번호, 원소 기호, 원자량, 한글 이름, 영문 이름을 표기한 형태를 표준 주기율표로 지정했다. 하지만 실제로 주기율표의 종류는 훨씬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다리 두 개로 걷는 이족 보행 로봇을 좋아하고, 또 이를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로봇이 인간 사회에서 더욱 잘 적응하고 유용하게 쓰였으면 하는 바람 때문입니다. 만약 로봇을 산이나 들 같은 험한 환경에서 사용해야 한다면 필자도 다리 네 개 달린 로봇을 선택할지도 ...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능력을 갖게 된 이유다. 하지만 이들이 언제 이 같은 능력을 처음 획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최근 스웨덴자연사박물관과 웁살라대 공동연구팀이 캥거루의 먼 친척으로 확인된 약 2000만 년 전 유대류의 발바닥 화석을 찾아 운동 능력을 분석한 결과, 이들도 두 발로 뛰어올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 [시사과학] 동물보호단체 케어, 개 수백 마리 안락사 시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런 탓에 사설보호소 중에는 안락사를 거의 시키지 않는 곳도 있는 반면, 케어처럼 명확한 기준 없이 안락사가 이뤄지는 보호소도 있어요. 사설보호소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랍니다. 궁극적으로는 구조가 필요한 동물의 수를 줄이고 유기동물을 활발히 ... ...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둥근 모양인 데 비해,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은 앞뒤로 길게 생겨 모습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거든요. 연구팀은 현대인 4468명의 유전자와 뇌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를 분석했어요. 우선 사람들의 뇌가 얼마나 둥글게 생겼는지를 측정한 후, 두개골의 모습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변이를 ... ...
- [10대의 약] 매사에 공격적이고 예민해요 ‘중2병’일까요, 우울증일까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보고 항우울제 복용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우울증 치료제와 자살 사이의 명확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하던 환자의 자살이 우울증 때문인지, 아니면 우울증 치료제 때문인지 그 원인을 정확히 밝히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주의사항은 가족이나 ... ...
- [SW 진로 체험] 수학, 금융을 꽃 피우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직무를 맡아도 일주일에 최소 1번 이상 회의를 하니까 사람들과 소통하고 자기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필요하죠. 차용원 게임 장르마다 플레이 방법이 다른 것처럼, 금융 회사도 종류가 다양하니까 어떤 회사에서 일할지 목표를 확실하게 정하는 게 필요해요. 그래야 대학원에 가서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하필이면 고리가 넓게 보이는 시기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망원경으로는 고리의 형태를 명확하게 분간할 수 없었으니, 갈릴레이가 토성의 양옆에 붙은 게 ‘귀’가 아닌지 심각하게 고민했을 법 하다. 2013년은 2011년보다 토성의 고리가 태양빛을 더 많이 받는 각도였다. 자외선에 의한 광이온화가 더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컨슈머리서치는 이 표기가 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비자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명확한 표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금도 표시 기준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제품명에 ‘우유’가 들어갈 경우 뒷면에 쓰인 원재료 정보에 원유 함량은 표시되지만, 유크림이나 탈지분유 등 다른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편집 기술은 유전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치료 효과가 명확하다면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유전자 편집 기술은 언젠가 인류가 채택할 수밖에 없는 기술이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사회 구성원간의 동의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