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죽음의 백색 왜성을 돌고 있는 생존 행성 최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있었지요.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 행성 탐색 위성(TESS)과 적외선 우주
망원경
스피처가 관측한 자료를 분석해 ‘WD 1856+534’라는 백색 왜성과 그 주위를 도는 ‘WD 1856 b’라는 행성을 찾았어요.태양을 포함한 대부분 별은 수명을 다할 때쯤 중심부의 물질들이 수축하고 표면 온도가 ... ...
[한 장의 과학] 원자외선 오로라가 반짝반짝! 혜성에서 최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원자외선 영역의 빛을 관측할 수 있는 우주
망원경
인 원자외선 분광기를 활용했답니다.갈란드 박사는 “행성과 혜성의 환경이 다른 만큼 오로라도 다르게 나타난다”며 “오로라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를 이어 나간다면 태양계의 날씨를 이해하는 데 ...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발견했어요. 연구원들은 정확한 확인을 위해 2019년 3월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전파
망원경
이 모여 있는 ‘아타카마대형밀리미터집합체(ALMA)’를 사용해 다시 금성을 관측했어요. 그리고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에서 또다시 흡수선 굴곡을 확인하였답니다.이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금성 50km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가득 담긴 보물상자일까요? 이 사진은 지난 9월 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허블우주
망원경
의 광시야 카메라(WFC3)로 촬영한 구성성단인 ‘NGC 1805’예요. 1826년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 제임스 던럽이 처음 발견한 NGC 1805는 지구에서부터 약 16만 3000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은하의 귀퉁이에 있어요. NGC 180 ... ...
예술이 된 우주·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함께 GPS로 활용하면 지금보다 더 정확한 위치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위성에 전파
망원경
을 설치하면 지금보다 먼 우주를 더욱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어 우주의 비밀을 풀 수 있을 거예요.” 특별이벤트 "니오와이즈, 나도 찍어 보자!" 니오와이즈 혜성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보고 싶은데 방법을 잘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높아요. 뜨거운 천체일수록 엑스선을 많이 내뿜어 이로시타는 지금껏 가시광선 우주
망원경
이 보여주던 것과 달리 뜨거운 천체들이 더 밝게 빛나는 풍경을 보여주지요.이로시타는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돼 지난해 7월 러시아 연방우주공사의 스펙트럼-뢴트겐-감마(SRG) 위성에 ... ...
[이달의 과학사] 펜지어스와 윌슨, ‘우주배경복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곳에 있는 로버트 디키는 이론으로 예측된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위해 동료들과 전파
망원경
을 만드는 중이었고, 펜지어스와 윌슨의 전화를 받는 순간 그들이 우주배경복사를 먼저 관측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죠. 전화를 끊은 디키는 팀원들에게 “여러분, 우리가 한발 늦었습니다”고 말했다고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탐사는 계속된다. 1990년에 발사된 허블우주
망원경
의 바통을 이어받을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JWST)’이 2021년 10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목성 트로이군에 있는 7개의 소행성을 포함해 총 8개의 천체를 관측하는 탐사선 ‘루시(Lucy)’를 2021년 10월 발사할 계획이다. NASA는 또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캘리포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는 NASA의 중형탐사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근적외선 우주
망원경
‘스피어x’의 계획에 대해 귀띔해 줬다. 지면을 넘어 원격으로 독자들과 맞닿은 과학기술인도 많다. 대표적으로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와 송민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연구원은 과학동아가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것을 ‘원시 행성계 원반’이라 불러요. 연구팀은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
망원경
(VLT)’으로 AB Aurigae의 원시 행성계 원반을 적외선 파장으로 촬영했어요. 그 결과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나선 팔 2개가 서로 연결되어 별을 감싸고 있는 모습을 관측했지요.연구팀은 관측을 바탕으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