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료"(으)로 총 1,2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육뉴스] 교육부, 2020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발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내용을 토대로 교사가 학교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셀프 학생부’를 방지하기 위해 동료평가서, 자기평가서, 수행평가 결과물 등 학교에서 교사 지도 하에 학생이 직접 작성한 자료만 활용하도록 했습니다.이외에도 창의적 체험활동 중 학생이 자율적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보고서를 작성한 ... ...
-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시동을 켰다. 그런데 반응이 없다. 웅~ 하는 엔진 시동 소리가 나야 할 텐데. 옆자리에 탄 동료가 “전기차도 이래요. 이게 시동 걸린 겁니다”라고 설명한다. 수소차의 첫인상은 조용함이다. 목적지를 중부고속도로 나들목에 위치한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 설치된 H하남수소충전소로 설정했다. 현재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컴퓨터에 업로드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립니다. 그렇게 해서라도 윌을 살리려는 것이죠. 동료 연구자인 맥스는 이 선택에 의심을 표합니다. 그건 윌이 아니라 윌의 모방에 불과하다고 생각해서입니다. 프로스트는 충분한 데이터만 있다면 자신도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디브컴의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전자레인지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팝콘으로 변했어요! 다음으로는 달걀을 넣어봤지요. 그러자 달걀은 폭발하면서 스펜서 동료들의 얼굴에 튀었어요. 계란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리면 압력으로 폭발하거든요.실험 끝에 퍼시 스펜서는 마이크로파가 물의 온도를 높인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1950년 1월 24일 마이크로파로 음식을 만드는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요즘, 러시아의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동료들에게 다시 한번 고마움을 전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행성이 하나 있어야 했죠. 그래서 헝가리의 천문학자 프란츠 자베르 폰 자크는 유럽의 동료 24명을 모아 이 궤도에서 새로운 천체를 발견하려는 계획을 세웠어요. 그런데 그가 천문학자들에게 초청장을 돌리는 사이, 뜬금없이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주세페 피아치가 이 궤도에서 새로운 천체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통해 초광속 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다.‘라스트 제다이’에는 홀도 제독이 다른 동료를 구하기 위해 하이퍼스페이스로 도약하면서 적 함대를 파괴하는 장면이 나온다. 하이퍼스페이스에 관한 설정에 모호한 면이 있어서 명쾌한 결론은 나지 않았다. 만약 하이퍼스페이스 도약이 정말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의대 교수였다. 2008년 인연을 맺은 두 과학자는 10년 넘게 서로의 연구에 도움을 주고받은 동료 연구자이자 친구다. 노벨상 수상 직후여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서멘자 교수는 백 교수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이틀간의 일정으로 한국을 찾았다. 과학동아가 단독으로 그를 만났다. Q. 2019년 노벨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꾸준히 만났다. 하지만 여전히 같은 직장, 같은 부서에서 같은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동료가 절실하다. 김 수석연구원이 입사한 지 20년이 다 됐지만 여성 연구원의 비율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는 “최근 육아휴직이나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등으로 그간 막혀있던 새로운 시도들이 이뤄지고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행성 연구자에게는 자립성도 필수 덕목입니다. 전 세계로 동료를 찾아가며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니까요. 외로운 생활이기는 하지만, 지구 밖의 관측자료를 세상에서 가장 먼저 다룬다는 쾌감이 있습니다. 이 글을 보는 과학동아 독자분들 중에 만약 행성 연구자를 꿈꾸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