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기"(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혀 상관이 없다. 우리가 누군가를 따돌리는 것은 온전히 나를 지키고자 하는 동기가 크다. 가끔 누군가가 갑자기 멀게 또 밉게 느껴진다면 혹시 나의 마음에 그런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배척의 일인자가 돼 홀로 남겨지고 싶은 게 아니라면 말이다. 박진영연세대에서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물망 형태는 매우 드물다.약방의 감초에서 퇴출 대상이 된 납문명은 인간의 욕망이 동기가 돼 이뤄낸 기술의 산물이다. 바꿔 말하면 인간의 역사는 도구 발명의 역사이자, 재료 발견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석기시대에 이어 금속시대로 문명의 진화를 이끈 7대 금속광물이 있다. 금, 은, 구리, 납,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것을 안 이상 막을 수 없었다. 어떤 확신은 나이와 장소와 사람을 가리지 않고 찾아온다. 동기는 보이지 않았지만 자질이 있는 이상 중요하지 않았다. 결과는, 그의 소관이 아니었다. 그의 인생조차 애당초 그의 소관이 아니었던 것을.“내일 부모님 모시고 오고, 준비하자.”소금은 만 열네 살이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 가설이 맞는다면, 애벌레 때 비교적 먼 혈연들까지도 함께 모여 사는 종보다 친동기들끼리만 모여 사는 종에서 고약한 맛이라는 방어체계가 더 뚜렷이 나타나리라고 피셔는 예측했다.이제 다음 단계는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이처럼 혈연에게 유전적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과연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자식 수를 측정하면 된다. 어른으로 무사히 자라는 자식 수를 최대화하려는 이기적인 동기에서 새들이 번식을 조절한다면, 알이 둘인 둥지에서 어미새는 가장 큰 성공을 거둘 것이다. 개체 입장에서는 알을 더 낳는 편이 낫지만 집단을 위해 이타적으로 번식을 자제한다면, 알이 셋인 둥지에서 어미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인터뷰에서 “너무 긴 시간 괴롭혔더니, 도마뱀들이 한계를 뛰어넘도록 더 이상 동기부여 할 수 없었다”고 고백(?)하면서도 “어쨌든 근섬유가 자랐으므로 뛰는 능력이 향상된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참새나 악어, 연어 등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동물도 ...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눈에 띄고 손이 닿는 거리에 과학동아가 있다는 점은 손에 책을 붙들게 만드는 큰 동기부여가 됐다. 잡지를 읽은 학생들은 이어서 과월호를 찾아보게 됐고, 수업시간 중에 관련 내용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잡지 내용과 연관된 질문을 했다. 수업과 진로 탐구에 ‘든든한 도우미’교실로 찾아온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얼굴이 붉어지기 전에같은 날 6시. 서울대 내의 식당으로 장소를 옮겼다. 그새 다른 동기들도 자리를 채워 인원이 20명 가까이 늘었다. 촬영을 마무리 하고 뒤늦게 들어온 기자에게 어느 누군가가 다급히 외쳤다. “얼굴 더 빨개지기 전에 얼른 사진 찍읍시다.” 테이블에 와인 잔이 이미 돌고 있었다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구름 위에 둥둥 뜬 상태에서 현실로 소환시키는는 효과를 가진다. 골비처 교수는 이것이 동기부여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첫 걸음이라고 말한다. 내가 어떤 난관을 이겨내야 하는지 생각하면 간략하게나마 구체적인 계획을 짜고, 이 과정에서 해볼만하다는 자신감과 실천 의지도 생긴다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존재(토마스 홉스의 ‘리바이어던’)와 상업의 발달(협력의 동기를 제공한다)로 폭력의 동기가 줄어들었다고 보고 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중세 이후로도 인류의 폭력은 급감했다. 인구 10만 명 당 살해된 인구는 16세기에 100명 수준이었지만, 현대는 0.5명 수준으로 200분의 1로 줄었다. 지금 발생하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