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불가사리의 별 모양, 몸통 아닌 머리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머리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발견됐어. 하지만 척추동물의 몸통과 꼬리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거의 없었어. 이는 불가사리의 몸으로 알려진 신체 구조가 다른 척추동물의 머리에 해당한다는 뜻이지. 제프 톰슨 박사는 “불가사리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몸통과 꼬리를 잃었을 가능성이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장이권 교수는 “탐사할 때 생물의 소리는 종 다양성, 종간 의사소통 등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정보가 된다”고 소리 탐사의 중요성을 말했습니다. “무작정 사진을 많이 찍는다고 해서 좋은 탐사가 되는 건 아니에요.” 탐사를 마무리하며 장이권 교수는 대원들에게 탐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 ...
[꿀꺽! 수학 한 입] 딱 들어맞게! 테셀레이션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23호
궁전이 규칙적인 무늬로 유명해진
데
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어. 바로 ‘테셀레 이션’, 우리말로는 ‘쪽매맞춤’ 덕분이야. 같은 모양의 조각들로 공간을 겹치지 않게 빈 틈없이 채우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하지. 우리가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벌집이 나 보도블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 ...
[노벨 물리학상] 전자까지 순간 포착! 아토 과학 시대를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이후 크라우스 교수와 륄리에 교수는 이를 발전시켜 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성공합니다. ‘아토 과학’의 시대를 연 거죠. 김 부단장은 “아토 과학을 통해 인류는 물질이 만들어지고,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과정을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도구를 얻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아토초 다음은 ... ...
[가상 인터뷰] 연가시가 사마귀를 조종하는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자체적으로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해. 더 나아가 연가시가 숙주를 조작하는
데
관여하는 3100개의 유전자 중 1400개는 사마귀의 유전자와 거의 일치했어. 연구팀은 연가시와 사마귀 간의 ‘수평 유전자 전달’이 일어난 결과라고 설명했어. 유전자 수평 전달? 그게 뭐야? 보통 유전자는 ... ...
실험실, 채굴장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보석용으로 사용하기엔 품질의 한계가 있어요. 그래서 주로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데
사용되지요. 원석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1990년대에는 ‘화학기상증착법’이 개발됐습니다. 화학기상증착법은 진공 상태의 챔버에서 플라즈마로 메탄 가스를 분해해 다이아몬드 씨앗에 탄소 원자를 한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CG를 위한 배우들의 열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OOOO한 이미지’가 생긴 것이 광고성 메일을 ‘스팸’ 메일이라 부르게 된 이유라는
데
요? ‘OOOO’은 무엇일까요? 영상으로 확인! 컴퓨터에서 갑자기 인터넷이 끊겨서 화면이 뚝 멈추거나 오류 창이 반복적으로 뜨는 걸 본 적 있나요? 사진 속 그림은 마치 컴퓨터 화면이 렉에 걸린 것처럼 픽셀이 ... ...
[노벨 화학상] 화려하게 빛나는 양자점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어려웠어요. 이후 미국 벨 연구소에 있던 브루스 교수가 물속에서 양자점을 만드는
데
성공하며, 양자점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지요. 브루스 교수의 제자인 바웬디 교수는 후속 연구를 통해 1993년에 원하는 크기의 양자점을 고르게 만들 수 있는 제조 방법을 개발하며 양자점이 실생활에 널리 ... ...
[4컷 만화] 달에 포장도로를 짓는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교수팀은 달 표면의 흙인 월면토를 모방한 물질을 레이저로 녹여 단단한 상태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인공 월면토에 12kW(킬로와트)의 레이저를 쏘았습니다. 그러자 월면토는 점차 압축되다가 콘크리트와 비슷한 강도를 지닌 검은색 유리 구조물로 변했지요. 연구팀은 레이저가 ... ...
[헷갈린 과학] 줄의 개수가 달라요! 가야금 VS 거문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2호
내죠. 이때 줄이 빨리 진동할수록 음이 높아집니다. 12줄의 명주실은 굵기가 모두 다른
데
, 두꺼울수록 느리게 진동해 음이 낮아져요. 같은 줄에서도 안족을 오른쪽으로 옮기면 줄이 진동하는 구간이 짧아지면서 빠르게 진동해 음정이 높아지지요. 또 왼손으로 줄을 깊게 누를수록 줄이 팽팽해져 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