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부분
다수
과반수
일반
보편적
대개
전반적
d라이브러리
"
대다수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글쓰기 능력이 합격 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기출문제를 충분히 분석하자. 나왔던 개념을 더 넓고 깊게 확장해서 공부해야 한다.
대다수
대학 홈페이지에는 논술전형 기출문제가 있다. 한 달 반은 기출문제를 충분히 분석하고 풀 수 있는 시간이다. 개념을 잘 정리해 두자.단순히 암기하지 말자. 암기만 해서는 다양하게 출제되는 광범위한 ... ...
부등식의 형태 변형-SOS 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부등식은 대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절대부등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대다수
부등식 문제는 주어진 식을 변형해서 푼다. 형태 변형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접하고 연습해야 한다. 이번 호에서는 형태 변형 중 많이 사용하는 SOS(sum of the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이 있다.수학을 실생활과 연계해 생각하는 학생은 드물다.
대다수
의 학생에게 수학은 수나 기호로 된 복잡한 문제를 푸는 과목일 뿐이다. 수학을 왜 하는지도 모른 채 공부만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수학이 실생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생각하게 한다. 수학에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신청해오는 학생들의 사연을 보면, 아직까지 꿈을 못정한 학생들이
대다수
입니다. 꿈이 있다고 하더라도 부모님의 강요로 정했거나, 돈을 많이 벌기 위한 ‘직업’을 고른 경우가 다반사죠. 꿈을 정하는 건, 지금 자신의 노력을 이끌어낼 원동력을 찾는 길입니다. 이번 호에 소개하는 두 사연을 통해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어렵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인터넷 트래픽수가 세계 1위라지만 결국 찾아가는 곳
대다수
는 당연히 한글 사이트다.그런데 구글을 비롯해 몇몇 업체들은 각국의 언어를 다른 나라의 언어로 번역해주는 프로그램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미 뿌리가 같은 언어들(예를 들어 영어와 독일어)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바뀌는 게 아니거든요.”김 교수는 대학생들과 대화를 통해 여전히 우리나라 젊은이들
대다수
는 부모가 찬성하지 않는 결혼은 하지 않겠다고 생각하고 있고, 친한 친구와 끼리끼리 어울리는 집단 문화에 익숙하다는 걸 발견했다. 김 교수는 최근 펴낸 ‘문화심리학’(공저자인 중앙대 심리학과 ... ...
수상 이력 보다는 자유로움 꿈꾸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약 50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정책을 폈다. 이 과정을 지원하는 학생
대다수
는 경시대회에서 거둔 좋은 성적을 내세웠다. 소위 ‘스펙쌓기’ 차원에서 경시대회에 몰입한 경우다. 그러나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면 경시대회에 한번 도전한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80% 이상의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왜 얼지 않을까?’이다. 상록수란 항상 푸르른 잎을 갖고 있어서 상록수라고 불린다.
대다수
는 이러한 상록수가 푸른 사실을 당연하게만 받아들여 왔다. 그러나 생활 속의 당연한 통념을 과학적인 사고를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 자체가 큰 의미를 갖는다. 뒤집어 생각하고, 다른 측면에서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197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우주배경복사는 빅뱅이론의 강력한 증거였다. 우주론자의
대다수
는 빅뱅이론을 받아들이게 됐다. 뿐만 아니라 우주배경복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빅뱅이론 자체도 더욱 정교해졌다. 198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코비(COBE)위성이 우주배경복사의 전체 스펙트럼을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 MIT의 사무엘 팅 교수는 우주관에서는 비주류다. 물리학자
대다수
는 우주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팅 교수는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별이나 은하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실제로 그렇다면 우리는 ‘왜 반물질은 사라지고 물질만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