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선"(으)로 총 1,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자석처럼 거대한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다.그런데 최근 음파를 이용해 견인광선을 실제로 구현한 장치가 등장했다. 스페인 나바라공립대 수학및컴퓨터공학과 아시에르 마르조 연구원팀은 공 모양의 물체를 공중에 띄워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사진으로 나타내지요. 사람의 눈은 파장이 380~800나노미터(nm, 1nm는 100만 분의 1mm)인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구분한다는 뜻이에요. 원근감을 이용해 입체 사진을 찍는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전자기적인 상호작용 때문이다. 원자를 이루는 전자들에 의해 전자기파의 일종인 가시광선(햇빛)이 산란돼 손바닥을 뚫고 똑바로 나아가지 못한다.도대체 전자는 어떤 형태로 원자 내부에 자리잡고 있을까? 이야기의 결말은 결국 양자역학이 맺게 된다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76만8000km. 뉴호라이즌 호의 고해상도 망원카메라 ‘로리’가 찍은 흑백 사진에 가시광선·적외선 분광계인 ‘랄프’가 수집한 데이터를 더해 색을 칠했다. NASA는 14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의 빛까지 측정하는데, 그 중에서도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측정한 데이터는 이미지로 기록된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가장 흔히 쓰이는 SW는 ‘아이라프(IRAF)’다. 아이라프를 통해 이미지에 담긴 우주 물질의 온도와 밀도, 구성 성분의 비율,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각 점에서 빛과 색을 직선으로 내보낸다는 것이다. 알 하이삼의 시각 이론은 물체에서 광선이 나온다는 점에서 흡수 이론을 닮았지만, 빛이 직진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방출 이론을 주장한 수학자 유클리드의 방법을 따르고 있었다. 알 하이삼은 고대 그리스의 의사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가시광선을 흡 란 가마에 작은 구멍을 내보면, 구멍이 검게 보인다.까만 종이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만 검지만, 큰 가마 에 있는 작은 구멍은 모든 파장의 빛에서 검다. 이 부분 이 중요하다. 자, 이제 가마에 불을 지펴보자. 가마가 한다. 자세히 보면 온도가 올라갈수록 나오는 빛의 색 이 변한다는 걸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벌집 거울’로 가장 많은 빛을 모은다! E-ELT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은 둘 다 가시광선을 보는 ‘광학망원경’이에요. 그런데 굴절망원경은 사용하는 렌즈가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크기를 계속 키우는 데 한계가 있어요. 렌즈가 너무 커지면, 빛의 초점이 퍼지는 현상 때문에 상이 흐릿해지는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근처)에서 같이 일어날 때가 많다(둘 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래 동영상 참조). 태양 가시광선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지만 특정한 파장의 빛으로 관찰하면 쉽게 볼 수 있다. 플레어는 자기장이 서로 반대되는 지역이 잇닿아 있을 때 그 경계면에서 나타 난다. 자기장 에너지가 방출되는 게 원인으로,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울어져서 태양을 공전한다. 삐뚤어져 돌기 때문에 남반구와 북반부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의 양에 차이가 생긴다. 반대로 자전축에 관계없이 일조량이 일정한 적도와 극지방은 일 년 내내 비슷한 날씨를 띤다. 하지만 지구의 계절은 기간이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지 않는다. 지구의 자전축이 몇억 년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