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난관
고생
곤경
언덕
고개
관문
d라이브러리
"
고비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무자동화(AFC) 시스템 자동화 시대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지니고 있다. 역무자동화시스템은 고도정보화사회 즉 자동화시대로 이전하는 중요한
고비
길이라는 점이다. 그것은 어떤 전산시스템보다도 다수의 대중이 사용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사회 전반의 자동화마인드가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프랑스 등 유럽의 선진국들을 보면 역무자동화의 ... ...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등을 들 수 있다.지리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류로는 꾀꼬리 곤줄박이 진박새 동
고비
직박구리 물가마귀 쏙독새 파랑새 호반새 청호반새 큰오색딱다구리 매 꿩 등이다. 한편 곤충류로는 나비목 1백17종, 풍뎅이목 49종, 진딧물 49종이 기록되어 있다.지리산국립공원의 세부계획에는 자연보존지구를 ... ...
일본에서 개발된 전기충격요법 색약·색맹이 치료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불가능을 가능케한 전혀 새로운 기술이 모두에게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기 까지는 어려운
고비
가 많을 것 같다"고 안타까와 하고 있다.와도 닥터즈 그룹은 이 요법의 해택이 한국인에게도 미치도록 하기 위해 지난 8월1일부터 토쿄 한국 학교 학생 5명의 색맹 치료를 무료로 해주고 있다. 중학교 1년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돌이켜 보면 한강의 역사는 어류에게는 수난의 역사였고 1977∼78년부터 81∼82년까지가
고비
였다고 여겨진다. 먼 옛날의 한강생태계 1만년 전의 한강을 상상해본다. 그때는 황해(黃海)의 출현으로 한강은 이미 독립된 하나의 하천이었을 것이다. 그 당시의 한강유역은 산지나 평지나 할 것 없이 ... ...
퍼스널컴퓨터의 어제와 오늘 오락에서 인공지능까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낯설지 않다. LISP는 문법구조가 일반 언어와는 달라서 초보자들은 당황하게되나 처음
고비
만 넘기면 LISP는 쉽게 정복이 될 것이며 LISP프로그램을 편집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 도구(tool)들이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다소 어려움을 덜어 줄것이다.LISP는 왜 인공지능 연구에 ... ...
4계절의 기후는 어떻게 바뀌어지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되살아나서 꽃샘추위가 나타나기도 하고 황사현상도 있게 된다. 황사현상은
고비
사막이나 화북지방과 같은 아시아대륙의 건조지역에서 고층으로 불려올라간 황진이 강한 편서풍을 타고 날아와서 생기는 것이다. 봄철에는 황사현상과 함께 강한 바람이 자주 불게 되는데 이는 잦은 저기압의 통과와 ... ...
잡목으로 우거진 빈약한 산림국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갱목의 수요는 줄지 않고 있다.다음으로 기대되는 것은 산림의 부산물이다. 고사리
고비
참나물 등 산채를 비롯해 송이 표고 느타리 등 버섯류도 빼놓을 수 없는 자원에 속한다.또한 현재의 산지 가운데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고 풀이 잘 자라는 지대는 초지(草地)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젖소 ... ...
제주도의 열대과일, 에떻게 기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뽑히는 수도 있다.제주도는 매해 8,9월이면 태풍이 불어오므로 바나나재배에 매우 중요한
고비
가 된다. 그래서 여름철에는 방충망(구멍이 뚫린 비닐제품)을 설치해야 한다.바나나를 재배하는데 유리한 토양은 중성이다. PH 5.5~6.5(약산성)에서도 가능한데, 강한 산성토양은 바나나에 불리하며 파나마병 ... ...
고엽제(枯葉劑)살포, 그이후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사람처럼 식물들도 그렇게 지쳐 버린 탓은 아니었을까. 베트남 전쟁은 68년 '테트'공세를
고비
로 사이공 정권의 패망을 향해 줄달음질치고 있었다. 주월미군이 고엽제라는 화학무기를 쓰기 시작한 것은 이보다 전의 일이었지만, 필자가 특파원으로 근무했던 67~68년 전후의 무렵에는 한국특파원은 ... ...
남극관측탐험대 개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본격적인 남극탐사활동을 시작한다는것은 그만큼 어려운
고비
가 많다. 1955년9월 브뤼셀에서 열린 국제학술연합회의(ICSU) IGY특별위원회(CSAGY) 제2차 남극회의에서 일본이 남극관측에 참가할것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몹시 망설였다. 전쟁이 끝난지 얼마되지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