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4,708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1701
권태준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실은 마치 수산시장을 방불케 했다. 거대한 수조에 여러 마리의 개구리들이 나눠져 들어가 있었다. 물위에 둥둥 떠있는 개구리들 ... 권 교수는 “정확한 유전체 지도가 밝혀졌으니,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01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을 찍은 사진을
활용
해 보정한다.암전류 문제 센서에 들어오는 빛을 가리고 300초 동안 촬영하면 센서의 전기적인 성질로 인해 ‘암전류’가 생긴다. 촬영 대상과 별도로 촬영해 천체 사진에서 제거한다.편향 문제 센서를 빛에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01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 한계를 뛰어 넘을 것”이라며 “사람의 신경망을 닮은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01
RNA바이러스 유전자를 찾을 수 있는 초정밀 프라이머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했다. 이것을
활용
하면 어떤 RNA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찾는 PCR의 초기 진행을 수 초로 단축할 수 있다.구 교수는 “앞으로 조류인플루엔자와 돼지콜레라 등 동식물 바이러스에 맞는 프라이머 데이터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01
방식이다.이번에 출시한 구글 번역기는 ‘신경망 기계번역(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을
활용
한다. 인공신경망은 사람의 뇌 구조를 모사한 학습방법으로, 중요한 기억에 대해서는 연결을 강화하는 뉴런과 시냅스의 작용을 모사한다. PBMT의 경우 문장이 길어지면 서로 멀리 떨어진 단어들을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
과학동아
l
201701
현재 우주는 어떨까. 그동안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같은 외부은하 탐사자료를
활용
해 근처 우주 물질이 실제로 균일하게 분포해 있는지 알아보려는 시도가 여럿 있었다. 주요 결과들은 3억 광년 이상의 규모부터 균일하다고 주장한다.방법은 이렇다. 탐사 영역 안의 한 은하를 중심으로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01
잘 알고 있었기에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최홍수 교수가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
할 수 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유 교수에게 먼저 손을 내밀었다. 두 사람의 로봇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처음 연구를 시작한 2010년은 물론 현재까지도 마이크로 로봇은 개발하기 쉽지 ... ...
[과학뉴스] 난방텐트
과학동아
l
201701
장점이 확실합니다.하지만 집에 외풍이 심하지 않거나 전기담요와 같은 추가 열원을
활용
하지 않는다면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텐트의 두께가 비닐처럼 얇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보온율을 측정해보면 평균 20%로, 겨울철 내의를 입었을 때의 보온율인 17~23%와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군용 이불(80%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
수학동아
l
201701
“물리학에서 페르미 추정은 흔하게 쓰인다”고 말했다.원 교수는 자신이 페르미 추정을
활용
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레이놀즈 수를 들었다.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
수학동아
l
201701
있는 약의 재료로 시간이 지날수록 빨간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하는 물질이다. 이를
활용
해 찍은 사진은 니엡스가 찍은 사진보다 섬세한 명암 표현이 가능했다.그림 그리는 천문학자최초로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다. 약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