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소
수축
단축
삭감
쇼트닝
절감
제한
d라이브러리
"
축소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염려가 담긴 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키이츠는 뉴턴이 ‘무지개를 프리즘 색으로
축소
시킴으로써 무지개에 관한 시를 모두 파괴해 버렸다’고 불평하기도 했습니다. 저는 그의 시에서 따온 ‘무지개의 신비를 풀며’라는 제목으로 정반대의 메시지가 담긴 책을 몇해 전에 출간한 적이 있습니다. ... ...
화성이 눈앞에 펼쳐지는 www.nasa.gov
과학동아
l
200402
항공우주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 화성을 입체로 볼 수 있는 입체사진과 17분의 1로
축소
된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를 만들어 볼 수 있는 종이모형 설계도도 얻을 수 있다.이달의 천문현상 알려주는 www.kao.re.kr 2월 밤하늘에 카시오페아 별자리를 찾으려면 중앙에서 북서쪽으로 이동하면 된다.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01
이는 SF영화의 줄거리가 아니다. 현재 미국, 러시아, 중국은 재래식 무기개발 예산을
축소
하고 미래의 우주전쟁에 대비하기 위한 우주무기 개발에 엄청난 힘을 쏟고 있다. 상대방의 위성을 궤도상에서 파괴, 무력화시키자는 발상으로부터 소형위성이 우주무기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지난 2000년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12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축소
되며 많은 구름이 발생한다 늦여름이 되면 극관은 거의 완전히 없어져 버리고 겨울이 되면 극지가 안개로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봄이 되면 겨울의 안개가 걷히고 크고 빛나는 새로운 극관이 나타난다 이것이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11
비행선 시제기 개발을 결정했다. 이 계획에 따라 항우연은 1단계로 성층권 비행선의
축소
형인 50m급 ‘비아50’ 제작에 착수하게 된다. 비아50의 개발은 향후 계속될 성층권 비행선의 후속 연구를 위한 시범적인 성격을 띤다. 이미 풍동시험을 비롯한 각종 비행 시험을 성공리에 마쳤으며 무인 비행을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10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밤하늘에 있는 수많은 은하들 상당수는 안드로메다은하를
축소
시켜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망원경의 구경이 매우 커진다면, 안드로메다 내부에 있는 수많은 구상성단과 산개성단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또다른 재미를 제공해준다.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10
동해를 ‘미니 대양’이라고 부르며 주목하고 있다. 해양심층수도 지구규모의 현상이
축소
돼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의미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그림2) 바다에는 유동이 있어 인접한 바다의 유입과 유출을 통해 해수교환이 이뤄진다. 동해의 주요 유입구는 쓰시마난류가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09
수nm 정도의 속이 빈 길다란 원통형 분자다. 여름철 잠자리를 시원하게 해주는 죽부인을
축소
한 모습과 비슷하다. 1991년 처음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된지 겨우 10여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기계적, 전기∙전자적 성질이 뛰어나 나노기술의 핵심 소재로 부상했다.탄소나노튜브는 탄소원자 6개로 이뤄진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08
남극관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기간 관측을 행해보면 극관의 면적이
축소
되면서 분리되거나 소멸되는 신기한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화성의 표면을 관측할 때에는 지표면의 모양과 대기 변화에 주목한다. 옛날 관측가들이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착각할 만큼 표면에는 붉은 배경에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08
세포 사이에 얼음이 형성된다. 그 결과 세포는 팽창하기보다는 오히려
축소
된다. 세포가
축소
되면서 세포막에 변화가 발생해 결국 세포가 죽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냉동보존의 결과는 가령 콩팥이나 배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이므로 곧바로 뇌에 적용될 수는 없다. 뇌를 냉동했을 때 각 부위의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