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d라이브러리
"
지목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12
공중정원은 실제로 공중에 떠있는 것이 아니라 높이 솟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속된 계단식 테라스로 된 노대에 풀과 꽃, 수목을 심었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마 ... 건물이라는데 더욱 매력이 있다.천하의 영웅 알렉산더가 자신이 죽을 장소로 바빌론을
지목
한 것도 이해가 될 법하다 ... ...
전기자동차는 휘발유자동차를 이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011
그러나 내연기관 자동차는 환경문제 또는 에너지문제가 심각해질 때마다 주요 원인으로
지목
받았고, 많은 사람들은 그 ‘대안’으로 전기자동차를 거론해왔다. 전기자동차란 전기를 발생시키는 동력원 - 축전지가 대표적이고 최근엔 연료전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 을 차체에 달고 여기서 나오는 ... ...
우주특실 즈베즈다 도킹성공의 내막
과학동아
l
200009
선장을 맡기기로 하고 러시아에게는 두명의 우주인 솔로브요프와 크리칼레프를
지목
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자국의 영웅인 솔로브요프가 외국인의 명령을 받을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그래서 다소 급이 낮은 기드젠코를 보내기로 했다. 국제우주정거장의 통제권은 휴스턴의 NASA에서 갖기로 했다.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04
악동으로 변한다.이름하여 '활성 산소'.호흡에 꼭 필요한 산소가 노화의 원인으로
지목
된 이유는 무엇일까.등반가나 잠수부는 고압의 산소가 담긴 무거운 금속통을 메고 다닌다. 여기서 산소통은 호흡을 위한 생명줄 역할을 한다. 일산화탄소가 포함된 연탄가스에 중독됐을 때 깨끗한 산소는 가장 ... ...
인터넷 기업군단 거느린 소프트 뱅크
과학동아
l
200003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다. 손정의는 디지털시대의 성공산업을 ‘인터넷’으로
지목
했다. 그것도 남들보다 한발짝 먼저. 그리고 4, 5년전 남들이 ‘모험’이라고 말했을 때 그는 미친 사람처럼 인터넷 기업에 투자하기 시작했다.1996년 손정의가 설립된지 1년밖에 안된 적자투성이 기업 야후에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11
탈모가 일어난다는 호르몬설도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 역시 탈모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
된다.현재까지 대머리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은 약은 두가지다. 미국의 머크사에서 개발한 피나스테라이드와 업존사가 만들어낸 미녹시딜이다. 흥미롭게도 두가지 모두 비아그라와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11
비아그라를 상품화시킨 화이자사는 발기부전 치료제의 약물 후보로 실데나필을
지목
했다. 페녹시벤자민과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혈관을 이완시키는 물질이었다. 그런데 화이자사가 처음부터 발기부전 치료제를 개발하려고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 실데나필의 원래 임무는 고혈압을 치료하는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07
이런 까닭에 지어졌다. 최근에는 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바이러스가 강력한 후보로
지목
받고 있다.그러나 바이러스의 더욱 무서운 점은 자신의 유전자를 끊임없이 변화시켜 정체를 아리송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과학자들이 백신을 개발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키운다 해도, 바이러스는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07
있다고 한다. 때문에 소화가 잘되고 흡수가 잘 된다. 개고기에는 특히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
되는 포화지방산이 적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돼 있다. 병후 회복을 위해서나 영양보충을 위해 보신탕이 선호되는 몇가지 이유다.경희대 국문과 서정범 교수는 삼복더위에 보신탕을 비롯한 각종의 ... ...
지구 최초 육지 식물은 우산이끼
과학동아
l
199810
처음으로 육지에 정착했다. 우산이끼는 오래 전부터 육지를 푸르게 한 개척자로
지목
돼왔다. 그러나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정확하게는 화석 발견이 어려워) 그 사실을 입증할 수 없었다. 그런데 인디애나 대학의 제프리 팰머 교수팀이 유전공학을 이용해 오늘날의 우산이끼가 4억7천만년 전 바다에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