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방
우유
밀크
가슴
쇠젖
소젖
앞가슴
d라이브러리
"
젖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10
알을 낳고 알껍질이 연약하다. 양서류는 육지에 오른 최초의 척추동물이다. 포유류는
젖
빨이 척추동물로서 태생이며, 뇌의 용적이 파충류보다 크므로 지능이 더 높은 것이다. 이렇듯 공룡이 양서류나 포유류가 아님은 명백하다. 중생대에는 공룡 외에도 익룡 어룡 배용류 조치류 거북이 악어 도마뱀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10
태어난지 수시간이 지나면 일어서서 걸으며, 어미가 가는 곳이면 어디든 따라간다.
젖
은 자주 먹는 편인데 생후 1주일 뒤에는 푸른 잎을 뜯어 먹기 시작한다.새끼는 세살이 될 때까지 어미 곁을 떠나지 않는다. 어미 코뿔소는 출산 후 3년이 지나야 다시 새끼를 낳는다. 그러면 세살박이의 어린 ... ...
몸무게 2배의 3배체 동물 슈퍼닭 탄생되다
과학동아
l
198909
인류의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3배체 동물연구가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돼 슈퍼닭의 생산에 이르렀다.이세상에 살고있는 동물로서 ... 약 2배가량 더 크게 자라는 3배체성 동물이 생산될 것이다.그러나 이와같은 3배체성
젖
빨이 동물의 개발은 가까운 장래에 생산되기는 힘들다고 본다 ... ...
어린아기와 함께 자는 경우 24%에 불과
과학동아
l
198903
부모가 어린아기를 데리고 자는 일이 적었다. 특히 귀족층은 아기는 으례 유모가
젖
주고 함께 자는것으로 관습을 삼았다. 그런데 요즘은 서민층에까지 이런 관습이 퍼져 어린아기와 밤새 함께 자거나 몇시간만이라도 함께 자는 경우는 도표에서 보듯 24%에 불과하고 55%는 결코 아기와 함께 자는일이 ... ...
캥거루
과학동아
l
198902
자동적으로 새끼의 식도로 직접 흘러 들어간다.새끼는 주머니속에서 약 6개월이상
젖
을 먹고 자란 뒤 처음 외출하게 된다. 주머니속에서 생활하는 새끼를 '조이(Joey)'라고 부른다.캥거루는 2~3년 자라면 성년이 되는데 수명은 16~18년 정도이다.캥거루는 멀리뛰기를 잘해 보통 13.5m를 뛴다. 높이뛰기도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01
임신기간은 20~22개월인데 갓난 새끼도 몸무게가 90~1백㎏이나 된다. 코끼리가 어린 시절
젖
을 먹을 때는 코를 사용하지 않고 입을 쓴다. 대개 11~13살 정도에서 성적으로 성숙하며 이후 3~4년마다 발정, 분만한다. 그러나 동물원에서 번식하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코끼리의 수명은 평균 40세 정도이나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01
한다.이렇게
젖
먹는데 관계없이 자꾸 빨고자 하는 아기는 결국 손가락을 빨거나 빈
젖
꼭지를 물려야 잠잠해진다. 이런 아기를 보고 엄마들은 애정, 관심이 부족하거나 피부접촉이 없어서 그렇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단지 아기들은 이미 태어날 때 빠는 욕구를 각기 다르게 갖고 ... ...
동물들의 새끼기르기
과학동아
l
198812
매달린 어미의 가슴 위쪽에 있는
젖
꼭지에 새끼도 역시 거꾸로 된 자세로 달라붙어
젖
을 먹는다.치타와 같은 육식맹수는 새끼에게 먹이동물을 사냥하는 기술을 익혀줘야 하며 지능도 어느정도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은 본능적인 애정과 자연 상태의 것으로 지성적이라고 할 정도는 못된다.인간은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
과학동아
l
198811
고기를 토해서 먹인다. 육식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어린 새끼들은 5~6개월이나
젖
을 빨아먹지만 생후 45~60일만 되면 토기의 뼈를 깨뜨릴 정도로 이빨이 튼튼해진다. 이때부터 어미는 이들에게 짐승들을 잡아 죽이고 운반하는 방법을 훈련시킨다. 또한 먹이를 먹는 방법을 가르친다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11
이 먹이가 마음에 들면 다른 비행류는 가슴을 내민다. 그러면 메르카토르는 가까이 가서
젖
을 먹기 시작한다. 내민 먹이가 마음에 들지 않을때는 다른 비행류가 메르카토르에게 악취가 나는 분비물을 세차게 내뿜는다.콘치카우다(Rhinolimacius conchicauda)코-코에 가까운 안면근의 일부가 코쪽으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