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11
활동하고 있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들과 같은 중성미자(뉴트리노)를 연구하는
입자
물리학자인 그는 SN1987A 초신성에서 방출된 중성미자 연구를 준비하기 위해 도서관을 찾았다가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된다.초신성 관측 이끈 조선 천문학“당시까지 한국 학자들은 케플러의 1604년 초신성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11
가능성이 매우 높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
입자
’의 변신을 확인하다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511
확률)는 90% 이상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
입자
’의 변신을 확인하다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
과학동아
l
201510
이번이 네 번째다. 연구책임자인 장 미셸 클래버리 연구원은 “아주 약간의 바이러스
입자
만 있어도 숙주인 아메바를 감염시켜 병원균을 부활시킬 수 있다”며 최근 영구동토층에서 원유 등을 추출하는 사업이 활발한 데 대해 “조심하지 않으면 천연두 같은 위험한 바이러스가 의도치 않게 깨어날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
당연히
입자
들 사이의 공간도 작아지고요. 물 안의 이물질은 각각의 층을 지나면서
입자
사이의 공간에 끼게 되고, 아래층에는 깨끗한 물만 남지요. 이러한 과정을 ‘여과’라고 해요.”여과 과정은 우리 집에 있는 정수기에서 사용하는 기본 원리예요. 걸러진 물은 생수처럼 마셔도 될 정도로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10
때 원래대로 펴지려는 성질이 있다. 이런 성질을 ‘탄성’이라고 한다. 두 교수는 나노
입자
만큼 미세한 수준에서 보면 종이 띠가 휘면서 그 지점에 탄성 에너지가 쌓인다고 설명했다. 많이 휜 부분일수록 에너지가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 ...
[과학뉴스] 유령
입자
가 충치 막았다?
과학동아
l
201510
중성미자는 우주의 기본
입자
중 하나로 어떤 물질과도 좀처럼 반응하지 않아 ‘유령
입자
’라고 불린다. 하지만 초신성이 폭발할 때 나오는 에너지가 두 물질 간 반응을 촉진해 불소를 만들었을 가능성은 있다. 연구팀은 우주에 존재하는 불소의 3분의 2가 이렇게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10
힘의 통일 문제로서, 법칙의 통일 문제와는 구별된다. 스몰린이 제시하는 넷째 문제는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에 있는 상수들의 값을 어떻게 정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마지막 문제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설명하는 것이다.1980년대 이래로 여러 형태의 초끈 이론을 발표한 과학자들은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l
201509
건포도)가 송송 박혀있는 모형이었다. 1911년 영국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러더퍼드는 알파
입자
(헬륨 핵)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가 톰슨의 생각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보였다. 양의 전하가 원자내부의 아주 작디작은 영역 안에 조밀하게 모여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에서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
망막은 거의 대부분 간상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요. 간상세포는 민감해서 아주 작은 빛
입자
인 광자 하나에도 반응해요. 그래서 빛의 양이 적은 밤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요. 그렇지만 해상도가 낮아서 세밀한 부분까지 구별하기는 어렵지요.동물들이 차에 치이는 사고인 로드킬(Road kill)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