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봄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봄을 만끽하기 위해 봄소풍을 가기로 한 섭섭박사님. 아름다운 꽃이 만발한 공원에 가서 예쁜 돗자리를 깔고, 맛있는 도시락을 먹으려는 순간! 뭔가 허전한 기분이 들었어요. 이렇게 기분 좋은 자리에 음악이 빠질 수 없겠죠? 하지만 깜빡 잊고 악기를 집에 두고 왔지 뭐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10
- 한국 정부에서 과학자들에게 주는 연구비 규모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 됐는데, 한국의 연구비 생태는 어떤 상황일까. 1파트에서 살펴 본 ‘노벨 생태계’처럼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을까.취재팀이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의 연구비 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도…, 도둑이 들었어요! 새롭게 선보일 발명품의 설계도가 사라졌다구요!”새로운 발명품 설계도가 사라졌다는 발명왕 ‘머라도 다맹그러’의 다급한 전화에 당장 현장으로 출동한 썰렁홈즈. ‘머라도 다맹그러’의 연구실은 여러 개의 방이 죽~ 이어져 있는 구조로, 맨 끝에 있는 방에 보관 중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10
- 만큼 문제의 난이도는 매우 높다. 크라우드 매스는 ‘art of math problems’이라는 사이트의 일부인데, 본래 이 사이트 자체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성지와 같은 곳이다. 오로지 수학 영재를 위한 강의와 문제를 제공한다.2017년 1월,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가 온다!수학동아에서는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10
- 선생님이 아닌 아이들이 주인공인 거꾸로 교실은 다양한 수업 활동이 가득하다. 철옹성 같던 아이들의 마음을 움직인 활동은 어떤 것이었는지 살펴보고, 활동 개발에 숨은 뒷이야기도 들어 보자.거꾸로 교실 인기 게임지난 호에 소개한 ‘삼각비 땅따먹기’ 게임은 수업에 시큰둥하던 학생들에게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더 신기한 ‘더블 이클립스’과학동아 l201610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9월 1일 ‘더블 이클립스(double eclipse)’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더블 이클립스는 지구와 달이 태양을 동시에 가리는 현상으로, 지구가 태양활동관측위성의 시야를 가리며 지나가는 동안 달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매우 드문 이벤트다. 촬영한 사진과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10
- 지난 8월 24일, 한 유명 커뮤니티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월 21일 기준)까지 국내외 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사고만 100건이 넘는다. 이전에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배터리 발화 문제는 있었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과학이라는 생태계를 숲에 비유하면, 연구비는 숲을 풍요롭게 가꾸는 양분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은 세계 6대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국이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장 많은 연구비(4.29%)를 지원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이처럼 과감한 투자에 있다. 하지만 과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0
- 2억30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 약 1억7000만 년을 주름잡던 공룡이 한 순간에 사라졌다(일부 살아남은 게 지금의 새다). 이 사건은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아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과연 6600만 년 전, 공룡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가장 널리 알려진 공룡 멸종 가설은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
- 이번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가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규모가 가장 컸다. 그전까지 가장 큰 지진이었던 1980년 평안북도 의주 지진(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