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72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버린 물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1105
폐기물과 마찬가지로 땅에 묻거나 태우거나 재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
육지
에서미처 해결하지 못하는 폐기물은 먼 바다에 버린다. 하지만 현재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는 ‘폐기물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 협약(런던협약)’에 따라 사라지는 추세다. 특히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5
지구 환경을 재현한 결과, 우산이끼류가 땅 속의 곰팡이와 공생 관계를 이루면서부터
육지
식물이 크게 번성하기 시작했다는 게 밝혀졌어. 지금도 많은 식물과 곰팡이는 공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단다.공생을 버리고 진화했다?미국 시카고자연사박물관과 영국 리딩대학교의 공동 연구팀이 지의류와 ... ...
Intro. 일본 대지진 위협받는 원전 신화
과학동아
l
201104
2시 46분, 일본 동북부 미야기 현 동쪽 130km 바다에서 리히터 규모 9.0의 강진이 일어났다.
육지
와 워낙 가까운 바다에서 일어난데다 진원이 24km로 비교적 얕았기 때문에 즉각 높이가 10m에 달하는 지진해일(쓰나미)이 일본 동쪽 해안에 들이닥쳤고, 심한 곳은 10km 안쪽까지 해일에 휩쓸렸다. 쓰나미는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04
육지
로 올라오는 것도 한 순간이지만 빠져나가는 것도 순식간”이라며 “바닷물이
육지
에 머무른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너무 길어 다음 파도가 오기까지 수십 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들어올 때보다 돌아나갈 때 지진해일파는 더 큰 가속도를 갖기 때문에 물이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04
안 된다. 땅 위를 흐르는 물보다 지하수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 빙하를 제외하면
육지
에 있는 물 가운데 98.4%가 지하수다. 지하수 오염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다.]“반응벽 세워 지하수 오염 막아야”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하더라도 지하수가 오염된 사례가 일부 보고되고 있다. 또 비록 지하수는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03
통과한 뒤 남쪽해안선을 따라 계속 동쪽으로 나아가 약 3만~1만 2000년 사이에 황해(당시는
육지
였다)를 건너 한반도와 일본까지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의 한국인이 이시기에 건너온 현생인류의 후손이라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을것이다.물론 한반도에는 현생인류가 도착하기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03
되면 빙하가 녹아 바다 쪽으로 밀려 나온다. 해안가에 있던 해빙은 이 빙하에 밀려
육지
에서 더욱 멀어지고, 해류와 만나면 곡선으로 말리기도 한다. 이렇게 생긴 해빙의 모습이 마치 파도치는 듯한 광경을 보여 주고 있다. 붉은색 부분은 빙하에 묻혀 있던 땅이 밖으로 노출된 것이다.] [귀신 들린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02
뿐 아니라 인공물을 설치하기 쉬워 두 가지 지구공학 방법을 적절히 섞어 활용할 수 있다.
육지
생태계는 연간 3억t의 탄소를 흡수하며 대기보다 3배 많은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또는 사막처럼 잘 활용하지 않는 지역에 햇빛 반사장치를 설치하면 에너지를 우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1. 사막에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02
아픈 존재다. 워낙 감염성이 커 연구를 제대로 할 수 없었던 것도 한 요인이다. 미국은
육지
에서 2.4km 떨어진 플럼 섬에 동물질병센터(아래)를 지어 구제역을 연구하고 있다.]신종플루사망 가능성 낮지만 안심할 순 없어“촉망받던 뮤지컬 배우 ‘올리비아 바네트’가 지난 일요일(1월 2일) 숨을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01
번 거르고, 그 찌꺼기를 갯벌에 사는 여러 생물과 미생물이 깨끗이 분해한다.서해 5도 중
육지
에 가장 가까이 있는 강화도의 갯벌은 한강으로부터 풍부한 흙을 공급받아 면적이 약 353km2에 달한다. 강화도 갯벌처럼 넓고 다양한 생명체를 부양할 수 있어 생태적 가치가 아주 높은 곳은 세계적으로도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