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쥐, 결핵 퇴치에 나선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인간의 타액에 들어있는 결핵 박테리아 냄새를 구별할 수 있도록 쥐를 훈련시키는 프로젝트가 추진된다고 지난해 12월 16일 AP통신이 보도했다.쥐 결핵 탐지훈련 프로젝트는 세계은행이 2천개 창의적 개발과제 제안서 중 지원대상으로 선정한 46개 과제 가운데 하나로 모두 1 ... ...
- 조류 독감 비상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사람과 가금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홍콩 조류 독감 바이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해 방역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12월 5일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의 한 종계 사육농장에서 폐사율이 높은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 닭 1만9천마리가 집단 폐사했다. 같은달 16일 이웃 ...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휴대전화, 컴퓨터, TV 등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신문∙방송 보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 두통, 어지러움, 불면증에서 간질발작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가슴 뜨끔한 경고들이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이런 전자제품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 여간 난처하지 않 ...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1775년 어느 날 “지구상의 다양한 인종은 위도에 따른 적응 반응일 뿐”이라고 결론지었다. 즉 햇빛이 강한 저위도에서는 짙은 피부색이, 약한 고위도에서는 옅은 피부색이 생존에 유리했다는 설명이다.우월한 백인과 열등한 유색인이라는 이분법이 상식으로 통하 ... ...
- 야생에서 배우는 인간을 위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사스 감염이나 조류독감 바이러스 확산 소식이 뉴스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일은 더이상 낯선 광경이 아니다. 오늘날 질병과 관련된 보도는 단순한 뉴스 차원을 넘어서 사회와 경제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오기도 한다. 1백년 전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아갔던 결핵, 독감, 폐렴 등 전염성 질병 ...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는 동력 비행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3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인간을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됐고, 상당한 무게를 띄울 수 있는 추진시스템을 갖췄으며, 하늘을 날 때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했다. 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동물체내의 거의 모 ... ...
- 1. 우리기술로 속도 장벽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우리나라도 고속철도를 운행하는 나라의 대열에 진입한다. 고속철도 시대를 눈앞에 둔 최근 차세대 한국형 고속전철이 경부고속철도 시험선구간에서 시속 3백km를 돌파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순수 우리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고속전철은 고속철도 설계기술과 ...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어느덧 다윈의 식탁 넷째날이 밝았다. 내일 하루는 쉬고 그 다음날에는 굴드와 도킨스가 런던으로 자리를 옮겨 자신들의 최근 저서에 관한 공개 강연회를 갖고 곧바로 종합 토론에 들어갈 예정이기 때문에 오늘이 주제 토론으로서는 마지막이다. 예고된 대로 오늘은 ‘진화와 진보’, ‘생명의 미 ...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나는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환경 속에서 이뤄진 믿을 수 없는 탐험 여행을 충실하게 기록했다. 과학이 진보하면 언젠가는 그곳도 인간에게 문을 열어줄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끝나는 쥘 베른 소설의 끝부분을 되뇌며 인천행 전철에 올랐다.서울에서 불과 1시간 거리. 탁트인 인천 앞바다를 마주 ...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타잔에게는 제인이란 이름의 애인이 있다. 그런데 영화 속 정글이 아닌 실제 정글에도 같은 이름을 가진 여성 과학자가 있다. 바로 영국 출신의 제인 구달 박사다. 그에게는 침팬지 친구가 여럿 있다. 그 중 죽마고우는 침팬지 피피. 구달 박사가 아프리카에서 처음 피피를 만났을 때 1살이었다. 그런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