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거북과 같은 원시적인 파충류와 구별되는 공룡의 중요한 특징이다. 도마뱀과 거북은 몸
옆
에서 직각으로 꺾인 다리로 엉금엉금 기어다닌다. 따라서 앞으로 전진하기 위해 몸통을 좌우로 틀어 다리를 움직여야 한다. 악어는 짧은 거리를 뛸 때 몸을 반쯤 들 수 있지만 역시 대부분의 시간을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없다.이 전체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려면 연구자들의 긴밀한 협업이 필수다. 하지만 ‘
옆
방의 교수가 무슨 연구를 하는지 서로 잘 모르는’ 한국 대학의 현실에서 이런 공동연구는 거의 불가능했다. 그런데 경기의약연구센터가 설립되면서 그 일이 실현된 것이다. 단계별로 4개팀을 짜고 각 팀에 2-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 안에 나뭇잎을 깔았다. 각각의 둥지는 한마리의 공룡 길이만큼씩 떨어져 있어 어미가
옆
둥지에 피해를 주지 않고 왔다갔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둥지 속에는 25개의 알이 서로 닿지 않게 동심원을 이루며 놓여 있었다.마이아사우라는 오로드로미우스처럼 둥지 위에 따스한 퇴비를 덮는 방법으로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간밤에 새끼를 낳은 것이다. 마치 만화영화 ‘톰과 제리’의 한 장면을 보는 듯했다.
옆
에 있던 라드는 소스라치게 놀라며 빗자루와 삽으로 이들을 내쫓으려고 했다. 그러나 새끼들이 허둥대는 모습이 너무도 불쌍해 라드에게 스스로 도망갈 때까지 기다리자고 했다.새끼손가락의 반도 안 되는 작은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설명할 수 있다.세포의 활동을 자극하는 코티손 역시 대표적인 주기성 호르몬이다. 신장
옆
에 달린 부신에서 분비되는 이 호르몬은 잠자는 동안 이른 새벽에 분비량이 증가해 아침 6-8시가 되면 최고량에 도달한다. 그리고 저녁에는 코티손의 농도가 가장 낮아진다. 아침에 깨어나면 몸에서 활기가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심한 환자가 방역망을 피해 비행기에 탑승하고, 그 환자에게 많은 채액이 분비된다면
옆
좌석의 승객에게 전염될 수도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문명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인간의 생활권이 확대됨으로써 세계가 더욱 가까워진 만큼 다른 나라의 바이러스와 만날 기회가 많아지고 있는게 사실이다.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가려있는 러시아의 로켓기술에 조금이라도 더 알아보려고 저마다 러시아과학자들
옆
에 붙었다. 그런데 술에 취한 듯한 한 러시아과학자가 “우리는 조만간 인공위성을 발사할 것”이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조만간이 대체 얼마나 되냐”고 묻자 그는 “1주일 아니면 한달”이라고 답변했다. ... ...
2. 달착륙 생방송은 조작극?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확인할 수 있다. 궁금하면 ‘NASA의 이미지’(mentor.cc.purdue.edu/~capp/images.html) 또는 ‘깃발
옆
을 걷는 우주비행사들’(spaceart.com/solar/cap/moon/vmoonflg.htm)를 방문해 MPEG 동영상을 보기 바란다(기록필름들은 아폴로 15호의 것일 가능성도 있음). 사람이 곁에서 움직이자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물론 그러한 실험은 죽을 때까지 진행됐다. 아무런 치료도 하지 않은 채. 나중에 731부대
옆
에는 커다란 뼈무덤(骨塚)이 생겼는데, 이는 세균을 옮겨놓고 피부와 내부기관이 어떤 변화를 겪는지를 살피기 위해 해부하고 남는 뼈들을 버린 곳이다.만주에 진출한 일본군들은 동상에 걸리는 일이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때문이다. 모나리자는 인물에 대해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모나리자의 앞모습, 뒷모습,
옆
모습, 위에서 본 모습, 밑에서 본 모습을 한번에 모두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 입체파의 믿음이었다.그런데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우리는 한 번에 한 면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모나리자에 대한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