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죽을 확률도 1이고, 살 확률도 1입니다. 무척 낯설지요?많은 세계 해석에 따라 새로운 실험 결과를 해석해 보겠습니다. 재료는 주사위입니다. 던지면 10초 뒤에 0부터 999999까지 숫자 가운데 하나가 한 면에 나타나는 전자 주사위를 생각해 봅시다. 주사위 면에 내 생일인 980728이 나올 확률은 100만 분의 ...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했다. 이틀 뒤 연구팀이 같은 실험을 반복하자, 까마귀 7마리 모두 배신 행위를 했던 실험자와 거래를 하지 않았다. 두 달 뒤에도 한 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까마귀들은 배신자와의 거래를 거부했다. 연구팀은 “까마귀들이 사회 안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고 행동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에는 주사전자현미경(SEM)과 X선회절분석기(XRD),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 등 이공계 실험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분석장비들이 가득했다.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유약 성분의 종류와 구성비를 정량화하고, 그 결과로 완성된 도자기의 유약 색상과 결정 구조, 구성 성분 등을 분석한다. 이를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때문이다.마침 미래자동차융합연구센터에는 차량 통신 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실험도 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이 갖춰져 있었다. 최 교수는 곧바로 이 책임연구원에게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현재 난관에 부딪힌 자동차 통신 기술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보자는 것이었다.100배 빠른 차량 통신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용한다. 바이러스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만 이용하거나 바이러스 유전자를 삽입한 DNA, 실험실에서 합성한 펩타이드를 백신에 이용하기도 한다. 유전 물질이 없어 증식할 수 없는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바이러스 유사 입자 백신도 있다.윤선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 연구원은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수 있지만, 자동차의 모양이 변할 때 저항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풍동실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시간에 결과를 알 수도 있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공기나 물의 흐름과 관련 있는 현상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연구를 시작하게 됐답니다.”우주 개발 선진국들은 이미 우주 공간에서 쓰레기를 치우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김해동 박사님이 개발하신 청소 위성이 최초랍니다.“지상에 사는 우리는 뚜벅뚜벅 걸어가 쓰레기를 주워 버리면 되지만, 우주에는 중력이 거의 없어서 청소 위성이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가늠할 수 있었다. 기존 독성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용 쥐 100마리를 희생시켜야 하고 실험 기간도 한 달이 걸렸던 반면, 이번에는 포유동물의 희생 없이 일주일이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강 박사는 “예쁜꼬마선충은 비록 벌레지만, 소화기관이나 신경기관 등이 사람과 비슷하다”며 “향후 다양한 ... ...
- [과학뉴스] 크리스퍼, 표적 외 다른 유전자에 변형 일으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예상되는 일부 유전자 부위의 변형만 확인했다.연구팀은 크리스퍼로 유전자 교정을 한 실험 쥐의 전체 유전자를 확인했다. 그 결과 의도한 표적 유전자는 성공적으로 교정됐지만, 나머지 유전자에서 1500개 이상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돌연변이와, 100개 이상의 큰 유전자 결실 및 삽입 돌연변이가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05년 미국 스탠퍼드대와 일본의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전송실험에 성공했으며, 최근 유럽에서는 143km 떨어진 곳에서 무선방식으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기록을 세웠다.최대 100km 수준이면 아직 현재의 연결망을 대체하기에 역부족이지 않을까. 곽 랩장은 “SKT에서도 유선상으로 113km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