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주기율표가 등장하면서 급격하게 원소수가 늘어 현재의 1백3종이 자리를 잡았다.역학과
생물학
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던 17세기. 화학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리스시대부터 받아 들여져 온 4원소설과 17세기부터 화학계를 지배하던 플로지스톤설이 ... ...
거미의 생사로 방탄조끼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그것은 거미의 생사(生絲)다.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나트릭연구센터(미육군 소속)의 분자
생물학
자들과 엔지니어들이 거미의 숨은 능력을 밝혀냈다. 그곳 연구원중 한명인 스티븐 포시는 "케블러섬유는 끊어지기 직전까지 4% 가량 늘어나는데 비해 거미의 생사는 15%까지 신장되기 때문에 총탄의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스펙트럼 상의 다양한 빛들이 체내의 호르몬에 제각기 독특한 영향을 미치며 광(光)
생물학
을 좀더 깊이 연구함으로써 언젠가는 내분비계의 질환에 대한 해결책이 발견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가시광선의 생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인체뿐만 아니라 각종 생물에 대해서도 이뤄져 왔다.식물의 성장을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국한돼 있었다. 그러나 HIV가 원인바이러스임이 밝혀지고, 그 생활사(life cycle)추적과 분자
생물학
적 연구의 진전에 따라 이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항(抗)바이러스요법(antiretrovirus therapy)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새로운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고 적절한 사용법을 발견하려는 전세계적인 노력이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m 이내에 분포하면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한다. 흙의 표층에 가까울수록 분포 규모가 크고
생물학
적 작용이 활발하다. 흙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공기와 물의 유통이 어려워지는 까닭에 흙의 깊이는 흙속의 미생물 분포에 제한 요인이 된다.흙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은 토양생태계내에서 여러가지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맞춰져 있다. 굴중성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진척돼 있다.식물은 우주 발생
생물학
자에게는 동물보다 훨씬 이점을 많이 소지하고 있는 실험대상이다. 그 근거로 다음 세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식물은 정확한 중력반응을 보인다. 둘째 우주비행을 흉내낸 지상에서의 연구가 쉽게 이뤄질 수 ... ...
숲과 인간, 삶의 순환고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마련이다. 우리들이 요즘 자주 이야기하는 인간 부재의 도시 환경, 대중 속의 고독 등은
생물학
적 사막의 메마른 도시 환경으로부터 기인함은 말할 나위가 없다. 도시개발은 생활 환경의 질적 향상을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도시 개발은 곧 도시 생태계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한, 항상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초키아스마핵으로 보내는 망막세포에 의해 자극받아 불리게 되는지도 모른다.시간
생물학
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환자가 여러가지 약을 하루중 어느 시간에 복용하느냐에 따라 그 반응효과가 달라짐을 발견했는데 특히 항암제의 경우에는 틀린 시간에 복용하면 몸 상태가 훨씬 불편해질 수 있고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긴 우주여행이나 우주생활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앞으로 우주
생물학
의 여러가지 과제들이 해결되는 날 "금지되지 않은 일은 꼭 일어나고 만다"는 미국의 입자 물리학자 겔만의 말대로 인류의 우주식민지 시대는 개막될 것으로 기대된다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모세관 현상에 의해 토양속을 이동하면서, 토양 안에서 일어나는 각종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
적 작용을 일으키거나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토양공기는 무기물과 유기물, 토양수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는 것으로, 그 일반적 특성은 대기의 화학적인 조성과 유사하다. 그러나 유기물이 부패할 때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