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포"(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에는 어떤 식물들이 자라나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산이 많고 남북으로 길게 뻗은 지형과 여름철에 비가 많이 오는 기후는 다양한 식물분포를 가져왔다.제주도에서 백두산까지 4천여종의 꽃과 나무들이 살아가는 식물세계의 내막을 살펴본다. ...
- 한반도의 잠재식생도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인간이 사회를 이루며 사는 것처럼 식물들의 세계도 모여 사는 그룹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식생이라고 한다.이 지도는 우리나라의 잠재적인 자연식생도로서 온도대(溫度帶)에 ... 것이다. 식생도를 보면 북쪽으로부터 아한대 냉온대의 북부, 중부, 남부 그리고 난온대가 분포한다 ... ...
- 식물의 보물섬, 제주도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있어 날씨가 따뜻한 데다가 한라산이 복판에 솟아있어 산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식물이 분포하기 때문이다.그래서 평지와 산아랫자락에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있고, 기온이 좀 떨어지는 산의 중턱에는 한반도의 식물과 비슷한 종류들이, 그리고 늦은 봄까지 눈으로 덮여있는 한라산의 ...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있는 것이 많다. 유사 이전의 귀화식물은 조사된 것이 없다. 개항 이후의 귀화식물의 분포와 증가는 비교적 자세히 밝혀졌는데, 예를 들어 구마고속도로에만 나는 종, 공항 근처에만 나는 종들이 있음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서울에는 귀화식물이 약 40종가량 밝혀져 있다.귀화식물은 자연이 파괴된 ... ...
-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들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분포하한계선은 낮아지게 된다.우리나라에서 고산식물은 대략 1천5백m 이상의 높은 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한라산에서는 1천6백m이상, 지리산에서는 1천5백m 이상, 설악산과 금강산에서는 1천4백m 이상, 관모봉과 백두산에서는 1천2백m 이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고산식물은 약 4백여 종류로 ... ...
- 우리나라에는 왜 소나무가 흔한가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에 많다. 북간도와 산동반도의 극히 일부지방에도 약간 분포한다. 일본에는 북해도를 제외한 전국에 펴져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많지는 않다. 이렇게 보면 소나무야말로 한국의 나무인 셈이다.일제시대 때만 해도 소나무가 전체 임야의 70%를 차지 했으나 해방후 ...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과학동아 l1986년 03호
- 해안에는 다른 하나의 산맥이 있다.화산은 이 두 산맥과 그 사이의 중앙지구대를 따라 분포되어 있다. 중앙산맥을 따라 있는 화산은 대개 오래되었고 태평양쪽 동부산맥과 중앙지구대의 화산은 아직 젊다. 그중 토르바치크화산은 표고 약 9백m의 용암대지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지구대에 있다 ... ...
- 포유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등지에 희소하게 살고 있는데, 한지성(寒地性)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지리산에까지 분포되고 있는 점이 학술상으로 중요시된다. 몸통길이 85㎝, 꼬리 27㎝, 어깨높이 50㎝ 정도인 사향노루는 몸 위로부터 아래로 암갈색이며 뺨 눈 귀 사이에 무늬가 있고, 주둥이는 황백색이 섞여 있다. 귀속은 순백색, ... ...
- 곤충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처음으로 채집, 발표한 종이다. 동북부산악지대와 태백산맥 산지를 제외한 전한반도에 분포하나 부속도서는 아직까지 채집기록이 없으며 일년에 한번 성충이 출현한다. 중·남부지방에서는 4월 초순경부터 출현하며 북부지방에서는 5월에 출현한다 ... ...
- 독서 조명·눈의 피로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아래에서는 적색의 식별이 곤란하며 물체가 어둡게 보인다. 이는 천연광의 분광 에너지 분포와 비교하여 장파장 부분이 낮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이를 개선한 천연색 형광등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 형광등은 관(管) 속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관 내부에 칠해진 형광물질에 반사되어 천연색에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