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넘치는 목소리로 회사에 대해 설명했어요. 알리바바는 구글 다음으로 인정받는 온라인 분야 세계 2위 그룹이에요. 알리바바를 만든 ‘마윈’ 회장은 IT산업의 신화라고 불릴 정도로 인정받고 있지요.그런데 알리바바를 막 나오려는 순간 IT 근두운을 보았다는 제보가 들어왔어요! 명예기자들이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지요. 지금은 자신의 전공을 살려 종이접기를 다양한 과학 분야에 접목하기 위해 공학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답니다. 로버트 랭은 “실제 수업에서 배운 공학과 수학 지식이 종이접기를 하는 데 많은 도움과 영감을 준다”고 말했어요.바퀴가 커졌다 작아졌다! 종이접기 ... ...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네 발로 걷는 ‘4족 보행 로봇’은 걷는 로봇 중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예요. 발이 4개인 만큼 안정적으로 걷거나 뛸 수 있기 때문이에요. 과학자들은 4족 보행 로봇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치타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치타가 빨리 달릴 수 있는 몸의 형태와 달리는 모습을 ...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편충의 알 등 기생충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이에요.두 시간 가량 이어진 강연이 끝난 뒤에는 ‘노빈손과 위험한 기생충 연구소’ 사인회가 열렸어요. 강연장 앞쪽이 가득 찰 정도로 많은 친구들이 줄을 섰는데, 교수님은 한 명 한 명 모두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뚫려있는 게 아닌, 그물눈이 아주 촘촘한 형태랍니다.과학자들은 자신이 주로 연구하는 분야에 따라 조사할 플랑크톤 크기를 결정해요. 몸길이가 1~2mm인 요각류를 연구하는 학자라면 1~2mm보다 그물눈이 작은 그물을 써서 바닷물을 거르는 거예요.타라에는 크기가 5~690μm 사이인 플랑크톤을 거를 수 ... ...
- [Knowledge] 백제시대엔 철 어떻게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할 때에도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 실험을 동반한 연구를 하기 때문입니다. 고고학 분야에서도 그렇습니다. 사람들에게 고고학은 발굴의 이미지가 강합니다. 땅을 파고 그 안에 숨어 있는 유적과 유물을 발굴하며, 이를 바탕으로 과거의 삶과 문화를 되살립니다. 그런데 이 때도 실험이 중요한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쏘는 전파는 ISM(Industry-Science-Medical) 밴드 대역의 전파다. ISM 밴드는 산업이나 과학, 의료 분야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가할 때 쓸 수 있게 지정해놓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것을 쏘면 드론 주변에 강력한 전자기장이 형성돼 내부의 전자회로가 망가진다. 드론디펜더의 유효 사격 각도는 30° , 사정거리는 ...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트랜스포머’ 등을 보여주며 기계공학의 설계 분야, 제어 분야, 열유체 분야 등 다양한 분야를 설명했다. “시간 관계상 마지막 영상은 안보고 넘어갈게요”라는 이 씨의 말에 학생들이 한 목소리로 “봐야 해요”라고 외칠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마지막으로 정신여고가 모교인 이화여대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희소식이다. 그렇다면 전투기에서 쏘는 레이저도 실제로 가능할까. 이번에는 레이저 응용분야 전문가인 최만수 한국천문연구원 SLR그룹 연구원에게 물어봤다.“무기로 쓰는 레이저는 지금도 있습니다. 중국은 미사일을 레이저로 요격하는 실험에 성공하기도 했죠. 전투기에 실을 수 있을 정도로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연구를 많은 사람들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능력을 길러줬다. 당시 명 교수는 다른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도 명 교수의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건 착각이었다. 보다인 박사는 명 교수의 연구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을 소개해서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게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