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로 떠나는 한여름
밤
의 꿈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있다.화살자리 Sagitta(Sge)은하수의 강에 빠져버린 화살자리를 찾을 수 있다면 어느 정도
밤
하늘과 가까워졌다고 뽐낼 수 있다. 독수리자리 위에 자리잡은 화살자리의 네 별은 화살과 꼭 닮았다. 그 앙증맞은 모습이 무척이나 사랑스럽다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금성은 두꺼운 황산 구름에 덮여있어 햇빛의 70%를 반사합니다. 이 구름 때문에 금성은
밤
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의 하나로 보이지만, 그 너머의 표면은 보지 못합니다. 보통 우주선의 카메라로도 볼 수 없기 때문에 보이저 익스프레스의 강력한 화상 레이더로 금성의 진면목을 보여드리겠습니다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남극과 월동이야기로 꽃을 피웠다. 동지가
밤
이 제일 긴 날이므로 동지만 넘기면
밤
이 짧아지기 시작한다. 괴로운 월동생활에서도 한숨 돌린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남극의 참모습을 알 수 있는 겨울은 기지 안에서나 밖에서나 월동대원들에게 아주 소중한 시간이다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느끼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행성은 위치가 변하고 변광성은 밝기가 변한다.더운 여름
밤
하늘 평소에 잘 보이지 않던 별이 새롭게 빛을 발한다. 8월 25일에는 고래자리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최근 들어 가장 밝아진다. 그 별은 어떤 별일까. 또한 8월 16일에는 어두운 행성 천왕성이 올해 중 가장 ... ...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 미수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남매는 해와 달이됐다. 처음에는 오빠가 해가 되고 누이동생이 달이됐는데, 누이동생이
밤
을 무서워해서 나중에 오빠가 달이 되고 누이동생이 해가 됐다. 그런데 이번에는 해가 된 누이동생이 부끄러움을 타서 사람들이 바로 쳐다보지 못하도록 밝은 빛을 내쏘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눈이 부셔서 ... ...
행성은 어떻게 돌아다닐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화성이 안타레스의 왼쪽(동쪽)으로 점점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10월의
밤
하늘에서는 화성이 궁수자리까지 이동한다. 이처럼 행성은 이름 그대로 별자리 사이를 돌아다닌다. 우리 민족이 태고 적부터 사용한 ‘행성’이란 이름은 이렇게 훌륭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 ...
악의 화신 늑대인간·드라큘라·좀비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니컬스 감독의 영화 ‘울프’(wolf, 1994)에서 해고 위기에 놓인 출판사 편집장 윌은 늦은
밤
귀가 도중 차로 치어 죽였다고 생각한 늑대에게 손을 물린다. 그때부터 항상 피로함에 찌들어 있던 윌의 육체에는 늑대와 같은 활기와 생동감이 흘러 넘친다. 윌은 출판사를 인수하고 자신을 해고하려던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저 태양의 강렬한 빛과 맞먹는 양이 된다고 한다. 저 들판에 피어있는 한송이 꽃도
밤
에는 별빛을 받으면서 성장한다. 우리나라 어린이와 젊은이도 이런 별빛을 온몸으로 맞으며 자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수많은 사람이 방방곡곡 들어선 천문대를 견학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 천문대는 어느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한 방향으로 향해 있어 물이 흐르는 것이다.2.4t의 물벼락 해골바가지 1998년 7월 31일
밤
10-11시 사이에 전라남도 순천에는 1백45mm의 폭우가 내렸다. 이 기록은 역대 시간당 강수량의 최대치다. 이에 대해 하늘이 양동이 채로 물을 퍼부었다고 말한다.그러나 양동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물벼락을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정북을 향하게 건축됐을까. 이것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내세관과 관련된다. 그들은
밤
하늘의 별, 특히 주극성에 굉장히 큰 관심을 가졌다. 주극성은 북극 주위를 도는 별들로 언제나 지평선 위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런 주극성을‘불멸의 존재’라고 불렀다. 결국 주극성은 영원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