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1초에 10Mb 수준으로 높여 4메가바이트(MB)짜리 MP3 파일을 3.2초에 전송하는 것이
목표
다.손으로 직접 닿지 않고 수 cm 떨어져 있거나 헝겊 같은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서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됐다. 2007년 일본의 통신기기 회사 알프스는 인체통신모듈을 탑재한 휴대전화를 개발했다 ... ...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재료보다 산전수전 다 겪은 물건이 좋다는 그는 앞으로 고물자연사박물관을 여는 것이
목표
다. 손때 묻고 흠 많지만 한편으로는 정겨운 그의‘분신’들을 지면에서 만나보자.파리낡은 방충망이 파리의 날개로 다시 태어났다.‘ 방충’(防蟲)이라는 단어에서 보듯 파리를 막는 임무를 충실히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의 신념이 담겨있다. ‘쓰레기 배출이 없는 나라, 쓰레기가 곧 자원인 나라’라는
목표
를 향해 사업단의 질주는 계속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1세기 그린파워 리사이클링 사이언스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PART3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40여 년을 곤충과 동고동락한 성신여대 김진일 교수는 파브르 곤충기 완역이라는
목표
를 세우고 기나긴 번역작업에 매진했다. 이 책은 2006년 출간된 1권에 이어 세 번째로 나온 책으로 ‘곤충의 기생생활’을 다룬다. 앞으로 7권의 책이 더 나올 예정이니 아직은 예고편일 수도 있다. 역자는 동식물의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시간을 잘 관리하라-상위
목표
를 세워라-그
목표
를 매일 매일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목표
들로 나눠라-자투리 시간을 생산적으로 활용하라(기다리는 시간에 구두 닦기, 생각을 정리할 시간 갖기)5. 문화를 만들어라-음악 듣기-춤 추기-요가 하기-명상 하기-스탠드 코미디 해보기-지역 연극 극단에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2016년까지 신경과학센터를 뇌연구 분야에서 세계 10대 연구센터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목표
가 현실로 나타날 것이다.“기초연구가 웬만큼 됐으면 응용연구로 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을 듣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 겨우 뇌를 이해하는 긴 여행의 첫걸음을 내딛었을 뿐입니다. 물론 연구 과정에서 ... ...
대기오염 잡으러 나선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휴대전화가 대기오염 ‘감시자’로 나섰다.영국의 과학전문지 ‘뉴사이언티스트’는 1월 2일자 온라인뉴스를 통해 영국 케임브리지대 에이먼 칸조 교수팀이 자전거와 휴대전 ... 할 정도로 큰 센서를 텔레비전 리모컨 크기로 작게 만들어 활동 범위를 넓히는 게 다음
목표
”라고 밝혔다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이르는 모든 결정과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행복한 미래와 동의어인 명문대 진학을
목표
로 초등학교 때부터 학원을 전전하고 어른 앞에서는 웃음을 참아야 예의바르다고 칭찬을 듣는 사회.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의 상당 부분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환상’이 아닐까.비교는 불행을 ...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기계적인 느낌을 살려주는 직선으로 디자인했을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했다.올해 MR의
목표
는 두 발로 걷는 축구로봇을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직접 만드는 것. 어항에 넣고 기르는 물고기로봇이나 배틀게임 로봇처럼 참신한 아이디어도 꿈틀댄다. 그래서일까. MR의 동아리방은 추운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따라 다른 세포 소기관들로 이동할까. 이 ‘신호’를 알아내는 것이 오 단장의 연구
목표
였다.세포에서 단백질이 촘촘한 소포체 막을 통과해 해당 세포기관으로 이동한 뒤 정확히 제자리에서 맡은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졌다. 미국 록펠러대 귄터 블로벨 교수가 원심분리기로 세포 내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