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면학
스터디
학업
수업
글공부
d라이브러리
"
공부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원래 고등학교 때부터 줄곧 물리학을
공부
하고 싶었어요. 비록 전자기학과 회로설계를
공부
했지만, 좀더 물리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학문을 연구하고 싶었습니다.”당시 이 교수가 유학을 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광학 및 양자전자연구실에 회로설계를 전공한 연구원은 이 교수뿐이었다.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파악하는 것입니다. 화학1의 물의 표면장력과 탄소 화합물 단원의 비누 부분을
공부
했다면 비눗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표면장력이 감소한다는 것을 파악해 첫번째 방법으로 표면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향으로 답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방법은 미셀이 형성되면 비누 분자가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발성은 노래를 부르다가 고음을 더 잘 내고 싶다거나 넓은 음역대를 부르고 싶을 때
공부
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물론 소리가 나는 음역대 자체가 낮은 사람도 있다. 슈퍼스타 K2가 배출한 또 다른 스타인 존박은 음역대가낮다. 같은 3옥타브를 올라간다고 해도 남들보다 낮은 도를 기준으로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연계 논술과 심층 면접 준비로 이어간다. 2. 언어와 외국어영역은 하루에 1시간 정도
공부
해서 감각을 잃지 않게 유지한다. 3. 그동안 다양하게 활동해온 내용을 잘 녹여낸 자기소개서를 작성한다 ... ...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었다. 비록 연구는 더디게 전개됐지만, 회절 물리와 수학알고리즘 자체에 대해 깊이
공부
할 기회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이 시기에 매진한 기초 연구는 본격적으로 연구에 뛰어든 이후에 큰 도움이 됐다. 기초 탐구 자세를 중시하는 우리 연구실만의 전통은 지금도 강점이라 생각한다.현재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되고 사진도 찍고 레이저도 나오는 나의 007펜. 펜 중간에 USB가 달려 있어 숙제나 시험
공부
할 때도 참 편리하단 말이야. 그러고 보면 펜의 변신은 참 대단해. 발명의 첫걸음은 꼼꼼한 분석! 펜의 구조와 펜에 쓸 잉크의 종류부터 알아볼까?볼펜의 변천사펜 끝에 달린 볼이 구르면서 위 쪽에 있는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우리나라에서 할 때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으면 좋겠어.나도 열심히 수학
공부
해서 4년, 8년, 12년…, 뒤에는 당당하게 국제수학자대회 무대에 오르고 말거야! 강연자로, 아니 필즈상 수상자로 말이지! 필즈상 수상자 업적➍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교수린덴스트라우스 교수님은 에르고딕 정리를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식으로 만들어진 관계만 함수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규칙성을 바탕으로 함수를
공부
하고 있지만 함수가 될 수 있는 다양한 관계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중학교 2학년 지학사 수학 교과서 116쪽 우리는 함수를 표와 함수식 또는 그래프가 전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함수의 ... ...
Part 4. 세 번째 한글 자음 'ㅇ'은 숫자 0과 비슷해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든 문자 같아. 숫자 0과 자음 ㅇ이 닮은 점이 있다는 것도 신기하고! 앞으로 한글
공부
를 더 열심히 해야겠어. 뜨리마까시~! (고마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있지 않아요. 열심히
공부
하는 수밖에 없죠. 저도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는 힘들고
공부
하기 싫을 때도 있어요. 그런데 풀어 냈을 때의 행복감이 크기 때문에 계속 하게 돼요”라고 답해 주셨어. 필즈상 수상자 업적➋, ➌ 세드리크 빌라니 교수와 응오바오쩌우 교수빌라니 교수님은 기체 분자에 큰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