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건이었다. 그런데 연구팀의 분석 결과, 자살의 원인이 타미플루 복용일 가능성이 다른 가능성보다 오히려 36%가량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doi:10.1370/afm.2183 엄 교수는 “인플루엔자는 단순히 독한 감기가 아니라 폐렴이나 심혈관계, 신경계 합병증까지 유발하는 무서운 바이러스”라며 “타미플루에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온장보관 했다가 다시 냉장보관을 하게 되면, 급격한 온도변화로 침전물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건 비단 캔커피 뿐만이 아니라 온장고 내에 들어 있는 모든 음료에 해당되는 얘기다. 하지만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음료를 온장고에 보관하기 시작한 날짜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음료가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나위 없을 것 같습니다. 결국 앨리스-에리카는 키 130cm에 이동 속도는 4km/h, 거리 인식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와 음성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마이크, 스피커, 동영상 재생을 위한 패드가 장착된 로봇으로 구상됐습니다. 두 다리 포기하고 ‘옴니휠’ 달아 다음은 앨리스-에리카를 구체적으로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없는지, 위치는 안전한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한번 학교 기숙사를 나가면 재입주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거주 문제는 사실 본인이 직접 살기 전까지는 잘 와 닿지 않는다. 처음에 기숙사가 1인실이라고 들었을 때는 가족 없이 혼자 산다는 점에서 자유롭고 사생활에 터치를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그게 좋았는지 나중엔 제가 산책을 안 시키면 똥을 안 쌀 정도였죠. 부라보도 사회화가 가능하다는 걸 보여줬으니, 이젠 정부도 산속 유기견을 입양 보내는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노벨상 수상 이전에 스트리클런드 교수가 미디어에 많이 노출됐다면 등재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주목한 ‘다양성 챔피언’ Jess Wade(제스 웨이드) 하루에 한 명씩, 과학계의 숨은 영웅을 매일 발굴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영국 임페리얼칼리지의 젊은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난방을 위해 숯불을 켜둔 채 잠들었다가 변을 당했을 가능성이 컸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가능성이 높은 추론일 뿐, 수사팀은 사고 원인을 더욱 확실하게 규명해야 했다. 일산화탄소의 위험성과 그 결과를 사람들에게 알릴 필요도 있었다. 이를 위해 수사팀은 사고 발생 열흘 뒤인 2월 27일 오전 11시,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동물 실험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최근 미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그 가능성을 열었다. 쥐의 언어를 분석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닭과 개의 소리를 인식하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도 이미 등장했다. 동물의 언어를 이해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세계 최초 쥐 언어 분석 AI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가능성도, 그렇게 생겨난 작은 입자들이 안정적으로 궤도운동을 하며 고리의 일부가 될 가능성도 희박하지만 말이다. 토성 고리의 기원을 설명하는 최근의 가설은 토성의 위성이 토성에 흡수되고 남은 흔적이 고리라는 이론이다. 위성은 규산염으로 된 암석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토성 궤도의 낮은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추가 장치를 덧붙여 STM을 완성했다. 그는 “설계상 잘못 조립할 경우 다시 되돌리는 게 불가능했다”며 “DGIST에 있는 무진동 연구실에서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서 교수는 STM으로 고온 초전도체의 원리를 탐구하고 있다. 초전도체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이 0인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