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하우
비결
비법
노우하우
기술
d라이브러리
"
기술정보
"(으)로 총 3,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01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술로 세계시장을 장악한 벤처기업이 많다.그 중에서도 인터넷 검색서비스를 하는 야휴는 벤처기업가라면 한번쯤 그려보는 꿈의 신화다.야휴는 어떻게 세계적인 기업이 됐으며,그 성공요인은 무엇일까.새 천년은 바야흐로 벤처기업의 시대다. 패기만만한 젊은이들은 더 이상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01
물리학그리스 신화에서 1백개의 눈을 가진 괴물 아르고스는 여신 헤라의 황금사과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헤르쿨레스는 아르고스를 죽이고 황금사과를 훔쳐냄으로써 그에게 떨어진 12가지 벌 중 하나를 해결한다. 아르고스를 총애했던 헤라는 그 1백개의 눈을 가장 아름다운 새 중 하나인 공작새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12
기능유전체학이나 비교유전체학은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인간에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그러나 속도가 문제다.간세포 하나를 떼내 그 안에 어떤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알아낸다고 하자. 인간의 모든 세포에는 23쌍의 염색체가 존재한다. 즉 간세포 하나에 10여만개의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12
2001년 첫 아침에는 휴대폰으로 고향에 있는 친척들과 화상전화를 할지 모른다. 빠르면 2001년 상용될 것으로 보이는 IMT-2000 덕분이다. 길을 걸으며 인터넷을 즐길 수 있고, 전세계 어디서나 단말기 하나면 통화가 가능한 IMT-2000에 대해 알아보자.버스 안에서 어떤 여자가 휴대폰으로 친구와 수다를 떤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12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12
‘오디오의 혁명’을 일으킨 CD(Compact Disk). 기존의 LP판보다 잡음이 없고 보관이 쉬우며 수명이 반영구적인 획기적인 제품이다. 한가닥의 광섬유를 이용해 최소한 1만회선의 통신이 가능해진 광통신. 종전의 구리선에서 문제가 됐던 잡음이 거의 제거됐고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들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12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인류는 A, G, C, T 4가지 알파벳으로 이뤄진 모든 유전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모아 책으로 만들면 1천쪽자리 책 2백권에 해당하는 분량이다.그러나 이 정보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마치 해독할 수 없는 문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고대 도서관의 유적을 발굴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12
2000년 3월경 인간게놈프로젝트가 90% 이상 완수돼 '인체설계도'의 초안이 작성될 예정이다. 그리고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된다. 그런데 한국 과학기술부는 2000년 부터 게놈연구에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외국에서 이미 완성돼가는 사업을 한국에서 조만간 시작한다는 말은 무슨 의미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12
머지않아 우리는 사람의 유전체에 담겨있는 모든 유전정보를 알게된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예정보다 2년 앞선 2003년 완료됨에 따라 사람의 게놈 설계도가 완전히 밝혀진다. 신비의 영역에 놓여있던 '생명'이라는 막연한 개념이 이제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고 우리앞에 다가온 것이다. 엄청난 사건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12
게놈 연구결과가 계속 보고되면서, 우리는 개별적인 생체부품뿐 아니라 생명체의 전체적인 윤곽을 볼 수 있게 됐다. 생물의 모든 유전정보가 체계적으로 모이고 정리됐기 때문이다. 유전정보에 대한 접근과 기능의 해석이 가능했던 것은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의 역할에 크게 힙입었다. 즉 유전정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